서울남부보훈지청 설동휴 복지과장
세계 곳곳에서는 크게는 나라와 나라끼리 작게는 종족과 종족간에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쟁의 명분이야 어떠하든 그 후유증은 너무도 크다.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인간이 망각의 동물이라고 하지만 잊어야 할 것과 꼭 잊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국가의 안전과 민족의 생존권을 지키는 일은 영원히 기억해야 할 우리들의 도리이다.
만약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적으로 싸우다 희생한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을 예우하고 지원하는 일에 소홀 한다면 누가 그 일을 할 것인가.
나라와 겨레를 위해 공헌하고 희생한 분들에게 보답하고 그 뜻을 널리 기리는 일은 한 나라와 민족이 자긍심을 갖고 살아 나가게 하는 기초이자 원동력이다.
그러나 아무리 중요한 일이라 해도 그것이 국민 한사람 한사람의 마음속에서 우러나와 생활 속에 뿌리 내리지 못한다면 소용없는 일이 될 것이다.
지금 우리는 세계경제의 난국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때일수록 애국선열과 국가유공자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국민들에게 심어 명실 공히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힘을 비축해야 될 것이다.
또한 보훈가족에게는 명예와 자긍심을 심어주고 생활안정 지원에 최선을 다 함으로써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국민통합의 새 모습으로 태어나 우리민족이 하나 되는 통일의 길을 재촉하여야 한다.
애국심은 서로의 신뢰 속에서 자기희생과 봉사에서부터 시작된다.
우리주위의 작은 일에서부터 진정으로 나라사랑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고민해 보고 몸소 실천해보자.
현충일 아침에 자녀들과 조기를 게양하는 아버지들의 모습이 일상이 되었으면 한다.
보훈병원 병상에서 휠체어에 의지하며 보호자 없이는 단 한발자국도 움직일 수 없는 상이용사들과 6월 중 하루만이라도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우리들의 모습이 애국하는 일은 아닐까? 금년도 보훈표어는 ‘보훈문화 뿌리 속에 애국문화 활짝 핀다’이다.
다함께 국가를 위해 헌신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큰 뜻을 기리면서 국가의 소중함을 아는 건강한 사회, 정의와 도덕이 살아 숨 쉬고 민족정기가 바로서는 호국·보훈의 달 6월이 되길 진심으로 기원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