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남동소방서 구월119안전센터
소방장 김성수
해마다 스포츠와 여행 등 레저 활동 인구가 증가하지만 안전에 대한 대중의식이 이에 미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즐거워야 할 여가활동이 안전사고로 인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들이 벌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여름철 물놀이로 인한 익사자는 화재나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 보다 그 수가 많다고 한다.
물놀이 사고의 대부분이 수영미숙이나 음주 등이 원인으로 밝혀져 피서객 안전의식 불감증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피서객 스스로 안전수칙을 숙지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안전한 물놀이에 앞서 주의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우선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서는 적당한 물의 조건이 필요하다.
수온은 보통 23도 이상이어야 하고 파도의 흐름이 약하며 수영에 적당한 깊이로 요철이나 급경사가 없어야 한다.
아울러 수영은 절대 혼자해서는 안되고 수상인명구조원이 있는 곳에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갖추고 하여야 한다.
술을 마시고 물에 들어가서도 안 되며 찬물에 다이빙하거나 갑자기 뛰어들면 심장마비가 일어날 수 있어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몸에 물을 적신 후 다리먼저 천천히 물속에 들어가야 한다.
또 머리부터 물에 들어갈 때는 주위에 장애물이 있는 지 살펴야 하고 물놀이 도중 발에 쥐가 날 때는 엄지발가락을 앞쪽으로 힘껏 잡아당겨 근육이 풀릴 때까지 마사지해야 한다.
또한 사고 발생시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다 목숨을 잃는 사례를 자주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물에 빠졌을 경우 무엇이든 잡을 수 있는 것을 던져 주어야 한다.
페트병이나 막대, 노, 나뭇가지, 셔츠, 벨트, 타올 등 물에 빠진 사람의 팔이나 손이 닿을 수 있도록 옆으로 던져 주면 좋다.
이때 절대 물에 먼저 들어가서는 안 된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안전은 스스로 지켜야 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스스로의 안전을 지켜 주어진 명대로 살다가 죽는 고종명(考終命)의 복을 누리며 살아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