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제에 대해 MBC가 지난 15일 코리아 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를 실시한 결과 박근혜 전 대표가 주장한 이른바 '원안+알파'에 대해 찬성은 56.4%, 반대는 34.4%로 집계됐다.
단순히 정부부처 9부2처2청을 이전하는 세종시 계획에 대해서는 '수정해야한다'는 응답이 46.3%, '원안대로 해야 한다'가 44.7%로 팽팽하게 맞섰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크게 엇갈려 수도권과 대구 경북, 강원, 제주에선 수정론이 많은 반면, 충청과 호남, 부산 경남은 원안론에 힘이 실렸다.
원성훈 코리아 리서치 이사는 “수정해야 한다는 응답자의 50%는 기존의 원안에다 자족기능을 추가하는 방안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국민 여론은 비판적이다.
실제 '수도권 등의 유권자를 의식한 정치적 목적'이라는 응답이 47.1%로, '행정 비효율성 등 부작용 때문'이라는 응답 43.2%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박근혜 전 대표가 수정에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선 '지역 균형 발전과 국민과의 약속 때문으로 본다'는 답변이 55.8%로, '충청권 유권자를 의식한 정치적 목적'이란 37.6%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정부가 강행하는 4대강 사업과 미디어법에 대해서도 비판 여론이 높았다.
4대강 사업에 대해선 '지금이라도 중단해야 한다(36.8%)'와 '추진하되 규모는 줄여야 한다(36.5%)'는 의견이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22.4%)'는 의견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4대강에 대해 중단 또는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이다.
야당이 재개정을 주장하고 있는 미디어법에 대해서도 '헌법재판소가 입법 과정의 위법성을 지적한 만큼 다시 개정해야 한다'는 답변이 66.5%로, '개정 불필요'라는 응답 25.1%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은 이 같은 여론에도 불구 지난 14일 싱가포르 APEC 참석 도중 교민들과의 모임에서 "국민들의 인기를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여론의 반대에도 불구 자신의 구상을 밀어붙이겠다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예비대선 주자별 선호도에선 박근혜 전 대표가 30.1%로 압도적인 1위였고, 이어 유시민 전 장관(7.8%), 손학규 전 대표(6.5%), 정몽준 대표(6.3%), 오세훈 서울시장(6.2%), 정동영 의원(5.3%) 순이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로컬거버넌스] 경기 부천시, 미디어아트 공간 '루미나래' 개장](/news/data/20251123/p1160271206724156_364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 합천군, 쌀 산업 위기 극복 팔걷어](/news/data/20251119/p1160278499965424_411_h2.jpg)
![[로컬거버넌스] 경남도교육청, 올해 ‘공동 수학여행’ 성공적 마무리](/news/data/20251118/p1160278826050924_127_h2.jpg)
![[로컬거버넌스] 부천시, 매력적인 도시공간 조성 박차](/news/data/20251117/p1160308292200179_732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