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입장변화, 총 파업보다 국민 이해가 더 중요”

전용혁 기자 / / 기사승인 : 2009-12-01 10:46: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성태 의원, “삼고초려 끝에 내린 결과일 것” 한국노총이 ‘노조전임자임금을 노조가 부담할테니 준비기간을 달라’며 돌연 입장 변화를 보인 것에 대해 한나라당 김성태 의원이 “국민적 이해와 공감을 얻는 것이 강력한 총 파업투쟁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노총 출신 국회의원 김성태 의원은 1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노총의 입장변화는)전혀 예상을 못했다”면서도 “사실상 국민들에게 단체와 조직이 어려운 현실에 대해 진솔하게 이해와 공감을 구하는 게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삼고초려 끝에 내린 결과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 의원은 “한국노총 입장에서 보면 한국노총의 역사가 건국의 역사와 같은데, 합리적인 노동운동을 통해 국가 경쟁력도 강화되고 산업현장도 많은 사회적 비용이 지출됐기 때문에 노사문제가 우리나라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해서는 안 된다는 마음은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외국 노동단체들이 회사측에서 노조전임자임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과 관련, “외국 노동조합조직은 노조가 몇 개가 생기든, 기업단위에서 전임노조로 활동하는 사람은 보기 쉽지 않은데, 한국 땅을 디딘지 얼마 안 되는 외국계 기업, 특히 유럽계 기업 임원들은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외국계 임원들은 한국의 노사현실을 아직 깊게 이해를 못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다”면서도 “다만 지금 와서 전임자임금이나 복수노조 부분을 과거의 원론적인 문제로 되돌리는 것은 그동안 많은 사회적비용을 지출하면서 노하우로 체득돼 있는 것을 다시 원 상태로 돌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복수노조 도입 3년 유예’ 부분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으로 유예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프레임은 분명히 서야 한다, 노사가 어떤 방향으로 전임자제도가 정착되고 어떻게 복수노조가 도입돼야 하는가 라는 것은 분명히 규정을 지으려 하는 것”이라며 “이런 것을 준비하는 기간에 대해 일정부분 기한은 필요하다는 인식”이라고 설명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