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단일화 협상 결렬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0-04-20 16:49:3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참여당, 경선룰 개정 촉구...민주당, ‘변경불가’ 재천명 [시민일보] 야권 단일화 협상이 끝내 경기도지사 경선 문제로 결렬되고 말았다.

국민참여당은 경기도지사 야권 후보 단일화 방안과 관련, 경선 방식 중 여론조사 문항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여당은 20일 “어제(19일) 협상에서 민주당과 시민단체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다시 한 번 호소한다. 이를 수용해야 야당이 이길 수 있다”고 거듭 여론조사 문항개선을 촉구했다.

참여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여론조사와 선거인단 경선을 각각 50%씩 반영해 야권의 경기도지사 단일 후보를 결정하자는 제안을 독배를 마시는 심정으로 받아들였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참여당은 “이런 방식으로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와 민주당 김진표 후보가 경쟁하면 해보나마다 무조건 김진표 후보가 이기게 돼 있다. 어떤 식으로 여론조사를 해도 유시민 후보가 김진표 후보를 10%포인트 이상 앞서기는 어렵다. 반면 동원 경선에서는 김진표 후보가 유시민 후보를 최소 30~40%, 최대 60%포인트 정도 앞설 게 뻔하다”며 “이럴 걸 잘 알면서도 국민참여당은 민주당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방식을 수용했다. 야당이 어떻게든 힘을 합쳐 이번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독재 정권을 심판해주기를 바라는 국민의 요구를 잘 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참여당은 여론조사 설문 방식에 대해 민주당이 줄기차게 주장하는 가생대결 방식이 아니라 적합도를 물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참여당은 “적합도 방식의 여론조사가 야권 지지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지를 받고 있는 유시민 후보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게 유 후보에게 유리하다고 비쳐지는 것이 거꾸로 경선 전체를 더욱 민주당 김진표 후보에게 유리하게 만든다는 것을 아셔야 한다”며 “단일 후보 경선에서 작은 이익까지 챙기려다 본선 경쟁력을 잃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참여당은 “4월 16일 제안에 대해 민주당은 시민단체 중재안이라며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나 사실은 민주당의 억지를 그대로 수용한 것에 가깝다. 그 내용 중에 서울과 경기도 등의 기초단체장 단일 후보 선정 방식은 모두 100% 여론조사다. 그것도 가상대결 방식이 아니라 적합도 방식이다. 민주당도 이런 방식이 더 현실적이고 바람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라며 “그런데 경기도지사 경선 방식에만 유독 자기 당에서도 하지 않는 선거인단 경선을 50% 포함시켰고, 여론조사도 적합도가 아닌 가상대결 방식을 고집했다. 이해관계에 따라 원칙과 상식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여론조사와 경선 방식을 빨리 합리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여당은 여론조사 문항에 대해 가상대결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신랄하게 비판했다.

참여당은 “가상대결 방식이란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 대 야당 연합 김진표 후보 중 누구를 지지 하느냐’ 그리고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 대 야당 연합 유시민 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느냐’를 각각 묻고, 이 두 문항의 지지율 격차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이런 방식의 조사로는 야권 후보의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이렇게 따로따로 물으면 야당 지지자 중에는 유시민도 지지하고, 김진표도 지지한다고 응답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기 때문이다. 야권 단일후보라면 그게 누가되든 지지하겠다는 유권자들이 많아 유시민, 김진표 후보 간에 변별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참여당은 “가상대결 방식은 한나라당 지지자들이 상대적으로 만만한 후보를 여론조사에서 지지한다고 응답하는 역선택의 우려가 높다는 것이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이런 문제 때문에 2002년 노무현, 정몽준 후보 단일화 때도 ‘이회창 후보에 맞서 노무현, 정몽준 두 후보 중 누가 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던 것이다.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에 맞서 김진표, 유시민 중 누가 야권의 단일 후보가 돼야 더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이렇게 물어야 야당 지지자들이 야권 단일후보로 누구를 더 지지하는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응답자는 유시민, 김진표 중 한 명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당 협상대표인 김민석 최고위원은 같은 날 “최근 약 2~3일 전부터 이미 합의되어 일찌감치 합의문에 포함되어있던 경기도 룰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에 경기도 경선룰을 위임한 바 있던 유시민 후보가 직접 나서서 합의문의 내용에 문제가 있다고 발언하고, 4월 15일부터 18일 타결을 전제로 즉각 실시를 위해 가동되기로 했던 부속 위원회, 즉 경기도 경선 준비부속위원회에 참여당이 참여하지 않는 등 사실상 시간 지연을 통해 경기도 룰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경선을 무산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라고 역공을 가했다.

김 최고위원은 “경선 무산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합의문 원안에 따른 경기도룰의 전면적이고 완전하고 안전한 즉각 실시를 요구한다는 것이 민주당 최고위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미 합의된 경선룰에 대해서는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실시를 요구한다. 경기도 룰은 기본틀에 대해 전혀 변경불가하다”고 거듭 ‘변경 불가’ 방침을 천명했다.

이같은 양측의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끝내 야권협상은 결렬되고 말았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