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햇살] 이명박은 싫다 59%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0-06-25 14:11:4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민심의 'MB 혐오증'이 급기야 위험수위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여권 핵심부는 최근 외부 전문가그룹에 용역을 의뢰해 ‘대통령 이미지 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런데 그 결과가 너무나 참담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무조건 싫다"는 응답이 44%였고, “이 대통령이 '권력 정치형-엘리트 선호형'이라 싫다”는 응답자도 15%에 달했다.

즉 ‘이 대통령이 잘못해서 싫다’는 사람(15%)과 ‘무조건 싫다’는 사람(44%)이 59%나 된다는 말이다.

반면 이 대통령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 사람은 41%에 불과했다.

하지만 긍정의 정도가 매우 약하다. 선호도 5점 만점에 평균 3.5점을 주었을 뿐이다.

다시 말하면 ‘그럭저럭 봐줄만 한 수준’이라는 것이지,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박수를 보내는 수준은 아니라는 뜻이다.

보고서는 41%의 지지에 대해 “대통령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라기보다는 ‘방관형 지지’의 측면이 강하다는 의미”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게 국민의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당선된 이 대통령의 현재 모습이다.

이 같은 MB 혐오증은 선거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치러진 각종 선거에서 여당은 번번이 패배의 쓴잔을 마셔야 했다. 물론 MB 혐오증 때문이다.

실제 대통령 취임 100일 쯤에 실시된 2008년 6.4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은 무참히 깨졌다.

48대 0이라는 불패신화를 구가했던 한나라당의 신화가 이명박 대통령 한 사람 때문에 하루 아침에 무너져 버린 것이다.

당시 한나라당은 “당에서 공천한 후보들이 국민들이 주시는 회초리를 당 대신 맞은 분들이라는 생각으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진심으로 각성하고 자성해서 거듭나겠다”며 고개 숙였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말뿐이었다.

변화된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이 대통령의 오만하고 독선적인 모습은 그대로였고, 한나라당의 ‘MB거수기’ 노릇과 ‘MB 나팔수’ 노릇은 달라진 것이 없었다.

그 결과는 같은 해 치러진 10.29 재보궐선거에서 나타났다.

당시 한나라당은 텃밭이라 할 수 있는 TK지역 8곳 중 단 4곳에서만 승리하는 졸전을 펼쳤다. 당 지도부가 총동원돼 직접 유세현장을 돌며 총력을 기울인 거에 비하면 초라하기 그지없는 성적이었다.

MB 혐오증이 한나라당 안방이라 할 수 있는 영남지역에서조차 대패하는 수모를 겪게 만든 것이다.

이듬해 실시된 4.29 재보궐선거 역시 5:0 한나라당의 완패로 막을 내렸으며, 10.28 재보궐선거는 민주당이 압승했다.

그 때마다 한나라당은 “반성한다”며 국민 앞에 고개 숙이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 실천에 옮긴 적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여전히 MB 나팔수 노릇을 하거나 ‘거수기’ 노릇에 충실했다.

그 결과가 지난 6.2 지방선거로 나타난 것이다.

국민들로부터 이쯤 두들겨 맞았으면 정신을 차릴 법도 하건만 한나라당은 여전히 제 정신이 아닌 것 같다.

이명박 대통령의 뜻을 받드는 데만 혈안이 되어 있을 뿐, 민심을 헤아릴 생각은 전혀 않는다.

실제 상임위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을 부의하기 위해 무려 53명의 MB 추종자들이 서명을 했다고 한다.

국민들에게 나타난 극단적인 ‘MB 혐오증’을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48대 0의 불패신화가 깨진 후 한나라당은 단 한 차례도 승리하지 못했다.

앞으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대로 간다면 한나라당 후보들은 7.28 재보궐선거는 물론이고 각종 재보궐선거와 19대 총선에서 살아남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한나라당이 ‘MB 혐오증에 따른 선거패배’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 내는 방법은 정녕 없는 것일까?

있다. 아주 간단하다.

그동안 당이 ‘MB 나팔수’ 혹은 ‘MB 거수기’ 노릇을 해온데 대해 반성하고, 지금부터라도 ‘MB 견제자’ 역할을 충실히 하면 된다. 당 지도부가 나서서 세종시 수정안을 이 대통령 스스로 철회하라고 압박하는 동시에 4대강 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도록 압력을 가한다면 등 돌린 민심을 다시 잡을 수도 있다.

당 지도부의 요구를 대통령이 외면할 경우에는 해당 행위로 간주해 그의 탈당을 종용하거나 아예 그를 출당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장담하거니와 이 방법 이외에 다른 해법은 아무 것도 없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