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희선 전 의원이 지방선거 출마자로부터 공천헌금을 받은 혐의(공직선거법 위반 등)로 조만간 검찰에 소환당할 것이라는 소식이다.
서울북부지검에 따르면 박승구 동대문구의회 부의장과 김희선 전 의원 사무실에서 일해 온 최모씨 등 2명이 검찰에 구속됐다.
이들은 지난 6·2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 동대문구 구의원 후보로 공천한 이모 씨에게서 각각 3000만원과 2800만원 상당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검찰은 김 의원도 직접 금품을 챙겼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조만간 그를 소환조사할 방침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일은 이미 예견된 것으로 새삼스러운 사건도 아니다.
민주당 역시 사전에 김 전 의원에 대한 비리혐의를 충분히 알고 있었다.
실제 서울 동대문갑 당원들 일부가 최근 중앙당 조직강화특위에 서신과 진정서 등을 통해 “김 전 의원의 지역위원장 반대”입장을 천명하고 나선 일이 있다.
바로 공천과 관련된 금품 수수의혹 때문이었다.
그리고 동대문갑 핵심 당원들 가운데 일부가 이 같은 사실을 서신이나 진정서 형태로 중앙당에 상세하게 알렸다.
그 서신과 진정서가 <시민일보>에 입수되기도 했다.
그 내용을 면밀하게 살펴보니 김 전의원에 대한 비리혐의가 아주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나와 있다.
단순한 의혹제기 차원을 넘어섰다는 말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 같은 사실을 알면서도 그를 최근 동대문갑 위원장으로 결정하고 말았다.
정말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8.8 내각 인사청문회에서 김태호 총리예정자 등이 낙마한 것은 그들이 도덕성에 하자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런 사실을 밝혀낸 것은 바로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었다.
그런데 정작 김 전 의원의 결격사유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한 것이다.
민주당의 도덕적 ‘이중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부분이다.
사실 민주당이 한나라당에 대해 비교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게 무엇인가.
가장 확실한 것은 도덕성 아닌가.
그런데 그 도덕성이 땅에 떨어지면, 민주당은 무엇으로 한나라당과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겠는가.
별로 내세울만한 게 없다.
민주당이 도덕성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이번에 민주당은 김 전 의원의 비리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그를 지역위원장으로 결정함으로써 도덕성에 크게 상처를 입게 됐다.
따라서 이런 잘못된 결정을 즉각 바로 잡아야 한다.
지역위원장 결정을 철회하고, 새로운 인재를 위원장으로 영입해야 한다는 말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 위원장 결정 과정에서 김 전 의원의 비리혐의를 은폐하려한 모든 책임자들을 가려내, 엄중하게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판단이다.
특히 10.3 전당대회를 앞두고 유력 당권주자 가운데 어느 누가 그에게 힘을 실어 주었다면, 그가 누구든 그는 마땅히 후보직을 사퇴해야 한다.
인터넷 상에서 한 네티즌은 “민주당이 MB정부에 대해 도덕성을 따지면서 정부가 추진하는 모든 정책, 인사권에 대해 브레이크를 걸고 있는데 연 본인들은 하늘을 우러러 떳떳한지, 그러한 것을 말할 자격이 있는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자신 있게 “그렇다”고 답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이번에 반드시 김 전 의원에 대한 지역위원장 결정을 철회하고, 그를 지역위원장으로 결정하도록 한 책임자를 가려내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는 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