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햇살] 손학규-김문수의 ‘골프장 공방전’

고하승 / / 기사승인 : 2010-10-18 11:28:0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한나라당의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요즘 때 아닌 `골프장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차기 대권을 둘러싼 여야 잠룡간의 신경전이 벌써부터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번 논란은 지난 13일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김 지사 취임 이후 골프장이 너무 늘었다'는 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김 지사가 "손 대표가 지사 시절 인허가를 했고 나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어 도장만 찍었다"고 답한 게 발단이 됐다.

김 지사는 또 "노무현 대통령이 관광산업을 촉진하고 활성화하면서 늘어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즉 경기도에 골프장이 난립하게 된 것은 자신의 책임이 아니라 손학규 대표와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때문이라는 것.

이에 대해 민주당이 "손학규 전 지사 재임 시 9개의 골프장을 인허가 했고, 김문수 지사가 취임한 2006년 7월 1일 이후부터 현재까지 38개의 골프장을 인허가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김 지사의 해명을 촉구하고 나서자, 김지사는 지난 14일 "내가 지사 재임 시 골프장 38개를 승인했는데, 이 중 25개가 손 전 지사가 계실 때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했던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

설사 김 지사의 이같은 발언이 사실이라고 해도, 김 지사의 잘못이 훨씬 더 크다.

김 지사 측이 마지막 관문인 최종 허가권을 행사해 놓고도, 손 대표 측에 책임을 돌리려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도시관리계획의 입안권자는 특별시장, 광역시장, 시장 또는 군수라고 법에 규정돼 있다.

따라서 경기도지사가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할 수 없는데도 김 지사의 변명은 마치 손 지사가 입안에 직접 관여한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낸다는 점에서 상당한 문제가 있다.

만일 김 지사가 최종 허가권을 행사하지 않았다면, 손 지사가 허가한 것은 9개로 문제가 될 만큼 많은 수는 아니었을 것이다.

누가 뭐래도 경기도에 골프장이 난립하게 된 책임은 전적으로 김 지사에게 있는 것이다.

특히 김 지사가 ‘골프장 예찬론자’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실제 그는 골프장 과다 승인에 대한 비판이 있을 때마다 '골프장을 없애면 인근 상인까지 피해를 본다'거나 '잘사는 사람이 있어야 서민이 잘산다'는 등의 논리로 비판의 목소리를 억눌렀던 사람이다.

그런 그가 이제 와서 그 책임의 일부를 손 대표에게 전가시키려는 태도는 온당치 못하다.

물론 김 지사의 다급한 사정을 모르는 바 아니다.

여권 내부에서 한때 ‘박근혜 대항마’로 거론되던 그의 위상은 민주당 손학규 체제의 출범으로 급격하게 위축되고 말았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에서 손 대표의 지지율이 상승세를 유지하는 반면, 김 지사의 지지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손 대표와 김 지사의 지지자들이 지역적으로, 또는 성향적으로 상당부분 중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홍준표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서민이미지가 겹치는 김문수 경기지사는 손 대표가 민주당 대표로 당선되면서 대선후보가 될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평가했겠는가.

따라서 김 지사는 어떻게든 손 대표를 물고 늘어져야 한다는 절박함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지지율이 조금 더 보태진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한 때 이회창 고건 이인제 등 이미지 정치로 대권주자 가운데 선두를 달리던 사람들은 끝내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하고 무너지고 말았다.

반면 김대중 김영삼 등 견고한 지지율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비록 숱한 우여곡절을 겪었으나, 대권의 문턱을 넘을 수 있었던 것이다.

지금 김 지사가 여권 내 박근혜 전 대표처럼 견고한 지지율을 갖고 있는가?

아니다. 그러다보니 이회창이나 고건, 이인제처럼 이미지 정치로 자신의 지지율을 띄워보겠다는 허황된 욕심을 품게 됐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정작 그들의 비참한 결말은 왜 눈여겨보지 않는지 모르겠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하승 고하승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