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배 시사평론가“정면 돌파용 親李개각” 평가절하

관리자 / / 기사승인 : 2011-01-03 18:06: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李대통령, 장관급 6명·차관급 2명·靑 참모 10명 인사 단행

[시민일보] 김종배 시사평론가는 최근 단행한 이명박 정부의 개각에 대해 3일 “정면 돌파용 친이 개각”이라고 평가절하 했다.


김 평론가는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동관 언론특보나 박형준 사회특보 같은 경우는 청와대에서 물러나기 전에 청와대 정무라인을 거의 담당했던 분들인데 이러한 사람들이 다시 특보로 컴백을 하고 있는 점, 그리고 감사원 같은 경우는 국회 이관이야기가 정치권에서 계속 나올 정도로 정치적 중립성이 강조가 되는 그런 조직인데 여기에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사람을 앉힌다는 이야기는 집권말기에 들어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행정조직의 이완현상, 권력 누수현상을 다잡기 위한 측근배치로 봐야 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렇게 본다면 올 한해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이라고 하는 것은 결국 정면돌파로 잡고 있는 것이고, 그것을 위해서 윤활유 뿌리기를 해서 정무라인을 대폭 보강한 것이라고 봐야 되고, 이 받침돌을 놓기 위해서 감사원장에 측근을 앉혔다, 이렇게 봐야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즉 조기레임덕 방지를 위한 정면돌파형의 특보내각이라는 것.


김 평론가는 개헌론에 대해 “수면으로 부상할 것 같다”면서도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빌 공(空)자 공론(空論)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지금 가장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사람이 이재오 특임장관이다. 그런데 이재오 특임장관 같은 경우에 한 언론 인터뷰에서 ‘개헌은 60일만에도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했던데 그렇게 물리적으로 가능하다 하더라도 개헌을 그렇게 추진해야 되는 것인지는 일단은 논란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60일만에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일단 논외로 하고 아주 정상적인 절차를 밟는다고 할 때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는 게 아니냐,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지금 한미 FTA 비준동의안 처리 문제가 걸려 있다. 이어서 4월에 재보선이 예정돼 있다. 이렇게 본다면 상반기 정치권 일정으로 볼 때 개헌이 다른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면서 전면화 되기에는 사실 환경이 좋지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이렇게 본다면 상식적으로 하반기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는데 사실 하반기가 돼 버리면 대권주자들이 본격적으로 대선행보에 나선다고 봐야 될 것 같고, 또 그 다음 해에 바로 총선이 있기 때문에 물밑에서 총선공천을 위한 어떤 몸 풀기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이고, 과연 개헌을 이루는, 개헌논의를 조직할 수 있는 정치권의 여건이 조성되겠느냐, 이렇게 볼 때 객관적 요인을 놓고 볼 때는 개헌이라고 하는 것은 주장은 하겠지만 실질적인 움직임은 나타나기 힘든 빌 공자 공론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서는 윤정호 조선일보 국회팀장도 동의를 표했다.


그는 “시기적으로도 그렇고 현실적으로도 좀 불가능하지 않나 싶은 게 대체적인 정치권의 관측”이라고 말했다.


윤 팀장은 “이재오 특임장관이 굉장히 열심히 일을 하시고 이 부분에 대해서 애정을 가지고 계시는 건 사실이다. 그래서 여러 가지 이니셔티브를 쥐면서 자신이 이 이슈를 주도해가려고 하고 있는데, 다만 호응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야지 개헌이라는 게 가능하다. 그런데 여권내나 야권내나 대선주자들, 특히 박근혜 전 대표나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 여러 분들이 여기에 대해서 그렇게 긍정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윤 팀장은 박근혜 대세론에 대해 “지금 상황으로 보면 게임은 끝난 것 같다.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이 MBC 조사에서는 40%가 넘었고 다른 2위 주자와는 20~ 30%포인트까지 차이가 나는 상황인데, 이 상황이 만약에 올해 중순이나 말까지 굳어진다면 대세론으로 확 휩쓸려갈 가능성이 많다”면서 “이 대통령의 (높은)지지율을 업고 (친이계 후보들이)단일화를 해서 박 전 대표와 당내 경선에서 붙으면, 대의원들이 있고 또 국민경선이 있긴 하지만 현재 구도로 보면 친이계가 훨씬 많다. 그래서 친이계가 단일한 후보를 내고 일정적인 국민지지를 받는다면 박근혜 전 대표와 당내 경선에서 최소한 한번 해볼 수 있지 않겠느냐 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김종배 시사평론가도 “친이계 내부에서 교통정리가 어떻게 되느냐가 관전포인트가 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친이계 내부에서의 교통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동력이 그렇게 크진 않을 것 같다, 어찌 보면 가장 큰 동력은 청와대라고 봐야 된다. 이명박 대통령이라고 봐야 되는데 이명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지금 후계체제를 논할 때가 아니라고 보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본다면 지지부진한 상태로 각 주자가 암중모색을 하면서 각계약진을 하는 이런 양상을 빚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리자 관리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