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ㆍ진보 논객, 야권단일화 두고 설전

안은영 / / 기사승인 : 2011-04-18 11:35: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전원책, “야권단일화. 유권자 깔보는 행위”
김기식, “현대정치에서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시민일보] 야권의 4.27 재보궐선거 후보단일화를 두고 보수우파 논객인 전원책 변호사가 “유권자를 깔보고 나오는 행위”라며 강하게 비난했다.

전원책 변호사는 18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서 진행된 정치사회분야 토론에서 야권연대에 대한 입장을 묻는 사회자의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전 변호사는 “이념과 정강, 정책이 전혀 다른 정당에서 후보를 단일화 한다는 것은 정말 반민주적 형태”라며 “정치판이 왜 이렇게 자꾸 역행을 하는지 유권자의 한 사람으로서 섭섭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의 경우를 예로 들며 “민주당의 정강정책을 보면 사실 민주노동당의 정강정책과 비교했을 때 거리가 두 당의 거리가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거리보다 더 멀다”며 “지금 야권이 후보를 단일화 한다는 것은 오로지 명분 하나이고, 한나라당에 반대되는 야당에 통일된 후보를 내서 한나라당을 이기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선거연합이 가능하려면 기본적으로 공통된 정책개발이 먼저 선행이 돼야 하는데, 정강정책과 이념이 다른 두 정당이 어떻게 후보를 단일화 할 수 있나”라며 “이런 데도 후보를 단일화한다는 것은 이것은 국민을 우롱하고 유권자가 무지하다는 것을 스스로 말하는 행위이고, 이런 것은 없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이에 대해 이날 상대 토론자로 출연한 김기식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은 “선거연합은 20세기 이후에 현대정치에서 아주 일상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전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선거연합의 형태가 만들어지고, 유럽의 선거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모든 선거가 선거연합에 의해 치러지고 그 결과 정부도 연립정부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당들간 정책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동의 정책적 합의가 존재했을 때 선거연합을 하는 것은 당연하고, 이번(4.27 재보궐선거) 경우에도 어쨌든 정책적 합의를 포함한 선거연합이 이뤄졌기 때문에 그것을 유권자의 의사와 상관없는 비민주적이다라고 얘기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당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뤄진 선거연합을 유권자가 받아들일 수 없는 정도의 차이라면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야권이 참패했어야 했는데, 한나라당이 패배하고 야권이 승리했다”며 “(야권이)힘을 합치라고 하는 유권자들의 승인이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후보단일화나 선거연합의 요구가 강하게 표출되는 것은 정권심판의 의지 때문에 나오는 것인데, 여당의 실정이라고 하는 것이 거꾸로 이런 야권의 선거연합과 후보단일화를 가능케 하고 그 효과가 정치적으로 굉장히 강력한 형태로 나타나게 만드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안은영 안은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