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EU FTA 합의 처리, 야권연대 무너질 것"

최민경 / / 기사승인 : 2011-05-04 11:46: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이정희 대표, "민주당 야권연대 의미 분명히 해야 할 것"
[시민일보]한-EU FTA와 관련, 한나라당과 합의 처리키로 한 민주당에 대해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야권연대 파기'까지 언급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는 4일 오전 CBS라디오 '변상욱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한-EU FTA 비준안 합의처리 한다면 야권연대가 끝나는 건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대단히 안타깝고도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중대한 결단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야권연대 파기'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 대표는 "민주당 인사들께서 책임이 있으시다면 이런 야권연대 정책파기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통합은 커녕 야권연대가 오히려 무너지는 결과가 생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와 한나라당의 잘못을 바로 잡고 힘을 더 키우자고 야권연대를 한 것이지, 종이에 써놓자고, 선거 때 후보단일화 하자는 취지로 정책합의를 한 것이 아니다"라며 "(민주당은)야권연대의 의미를 분명히 해줘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한 그는 "6월에는 한-미 FTA가 있는데 이미 야권연대가 얼마나 성사되느냐를 놓고 매우 중대하게, 아주 상세하게 논의해왔던 것"이라며 "한-EU FTA, 한-미 FTA 쟁점을 야당 사이에 줄이기 위해서라도 통상절차법을 먼저 처리해야 된다, 국회에서 논의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열어놓아야 야권연대도 진전될 수 있다고 보고 통상절차법 개정도 이번 4.27 재보궐 선거 야권연대정책합의문에 들어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저희로서는 정책연합이 되지 않았다면 아마 (4.27재보궐선거에서)연합을 하지 않았을 것이고, 연대를 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당 강기갑 의원 역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한-EU FTA 합의 처리에 대해 "4.27 재보궐 선거에서의 야권 합의 사항을 이렇게 버린다면 말과 행동이 전혀 일치되지 않는 것"이라며 "민주당의 입장이 (야권연대에)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한-EU FTA 비준안 통과시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의 야권연대가 어려워 질 것이라는 일부 주장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야권연대를 어떻게 국민의 명령에 따라 강화, 확대시킬까 하는 부분은 철저하게 민주당의 결단, 결정에 달려있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합의 처리 결정을 내린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에 대해 "(한-EU FTA 처리를)한 정당의 이익과 부담 정도로 접근을 한다면 국회의원으로서 자격이 의심되는 것"이라며 "정당의 이익이나 부담기준으로 판단 할 것이 아니라 이런 국제 조약이 우리나라 미래와 서민들의 삶에 어떻게 큰 변화를 줄 것인가, 또 어떤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인가라는 식으로 접근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는 "이번 한-EU FTA 여야 합의는 국민에 대한 기만"이라며 "야권연대는 심각한 균열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조 대표는 지난 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농성에 돌입하며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한-EU FTA는 축산업자와 농민, 그리고 중소영세상인들을 죽이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반대할 수밖에 없다"며 "특히 야권연대를 함께 해놓고 철저한 검증과 통상절차법 개정을 약속했던 민주당이 한나라당과 이명박 정부에 도움이 되는 이런 결과를 가져오게 해서 대단히 유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조 대표는 "민주당에 대해서도 손학규 대표와의 회동을 제안했으며, 마지막까지 민주당이 이 문제에 대해 야권연대 합의정신으로 돌아오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의원들은 지난 3일부터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한-EU FTA 비준동의안 처리 합의 철회를 촉구하며 농성에 들어갔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민경 최민경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