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박근혜, 정면충돌

관리자 / / 기사승인 : 2011-05-20 12:55: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당권 대권 분리안 개정 ‘찬성’-‘반대’ 대립각

[시민일보] 정몽준-박근혜 두 전직 한나라당 대표가 당권과 대권이 분리된 현행 당헌개정을 둘러싸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20일 이례적으로 개인 논평까지 내면서 박 전 대표를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박근혜 전 대표가 전날 당권ㆍ대권 분리규정의 개정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 "현행 규정을 유지하자는 것은 변화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또 "당이 위기에 빠져 있는 상황에서 과거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미래를 포기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무엇을 위한 원칙이고 무엇을 위한 당헌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당을 살리고 나라를 발전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원칙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앞서 정 전 대표는 전날 김문수 경기지사와 만난 자리에서도 당권ㆍ대권을 통합해 7ㆍ4 전대에 대권주자들이 모두 나와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친이계 대권주자 가운데 한 사람인 김 지사 역시 같은 목소리를 내 정몽준-친이계가 사실상 ‘대권 연대’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정 전 대표는 "상식에 맞지 않고, 한나라당이 처한 현실에도 맞지 않는다"고 당헌개정을 요구했고, 김 지사도 이에 "대선에 나올만한 사람은 다 당을 못 끌면 누가 당을 끄는가. 전적으로 같은 생각"이라고 동의를 표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전날 황우여 원내대표와의 비공개 회동에서 당권·대권분리와 관련, "쇄신의 명분과 원칙을 상실하면 안 된다. 정당 정치의 개혁에 있어서 후퇴는 있을 수 없다"고 당헌개정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사실상 차기 전대에 불출마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셈이다.

한편 현행 당권·대권분리 규정은 제왕적 총재의 폐해를 막기 위한 지난 2005년 박 전 대표의 대표 재직시절 도입한 것으로, 대선 후보 경선 출마자는 대통령 선거일로부터 1년 6개월 전에는 당 대표 등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리자 관리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