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MRO 사업확장, 중소업체 설 자리 잃어

최민경 / / 기사승인 : 2011-05-30 15:21: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태근 의원, “공공기관도 대기업 운영 MRO와 계약”
[시민일보]대기업 계열사 소모성자재구매(MRO) 업체들의 사업확장으로 중소 문구ㆍ유통업체들이 설 자리를 잃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기관 산하 공공기관들마저도 이들 대기업 계열사 업체들과 계약, 소모성 자재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정태근(서울 성북 갑) 의원은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기업의 중소기업 사업영역 침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며 “정부 및 공공기관부터 소모성 자재 구입은 중소 MRO기업을 통해 구매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아이마켓코리아(삼성), 서브원(LG), SK(스피드몰) 등 대기업의 계열사 MRO 업체들은 당초 계열사의 소모성 자재를 구하는 데서 출발했으나 현재는 공공기관, 대학, 병원 등이나 비계열 타기업으로까지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실제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220억원, 지질자원연구원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42억원의 소모성자재를, 한국전력공사는 2010년도에 총 11억원, 한국남부발전은 20억원의 소모성자재를 LG가 지분을 갖고 있는 서브원을 통해 구매했다.

이밖에도 삼성그룹 계열의 아이마켓코리아는 지난 2008년 1조653억원에서 지난 해 1조5492억원으로, SK 계열의 코리아MRO는 700억원에서 1028억원으로, 웅진계열의 웅진홀딩스는 1003억원에서 5370억원으로 대폭 늘었다.

정 의원은 “대기업 그룹 MRO기업이 우월한 마케팅 능력과 협상력을 앞세워 무분별하게 시장을 확대하다 보니 중소기업 문구ㆍ유통영역이 급속히 잠식되는 역기능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 MRO가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거래를 강요하고 물품납품업체에 가격 후려치기 등 불공정거래가 없는지 철저히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민경 최민경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