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탈당-중립내각 모색해야

최민경 / / 기사승인 : 2011-07-06 15:52: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미래 권력으로 이동하는 게 공식화 됐다.”

“지는 해와 뜨는 해의 상황이 역전이 됐다.”

“이명박 대통령과 거리 두는 것을 넘어서 공격하는 현상이 나올 것이다.”

이는 대통령리더십연구소 최진 소장이 6일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한나라당 7.4 전당대회 결과에 대해 평가한 발언들이다.

굳이 그의 평가가 아니더라도 지금 한나라당 내에서 구주류인 친이계(친 이명박)가 사실상 와해 됐다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실제 전대에서 친이계의 전폭적 지지를 받은 원희룡 후보가 4위에 그쳤다. 그로 인해 당 주도권을 완전히 내줬다는 허탈감과 함께 내부 결속력이 급속히 무너지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친이계 초·재선 소장파 모임인 ‘민생토론방’ 회의에서도 이런 분위기가 감지됐다.

모임 간사인 진영 의원은 “이명박 정부의 역사적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하니 허탈하다”며 “지난 원내대표 선거가 끝나고 친이계가 사라진 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강승규 의원이 “당이 이 대통령과 차별화하는 게 정권 재창출의 지름길이 아니냐는 생각에서 그런 쪽으로 갈까 우려된다”며 “친이계가 이명박 정권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에 앞장서자”고 강조했지만 목소리에는 힘이 실리지 않았다.

사실 현재 권력에서 미래 권력으로 이탈하려는 당내 움직임은 7.4 전대 이전부터 감지되고 있었다.

당시 7인의 당권주자들을 비롯해, 처음에는 너도나도 이명박 대통력과 친하다고 말하던 국회의원들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앞 다퉈 대통령과 친하지 않다고 말하는 차별화 현상이 생겼다.

하지만 이게 끝은 아니다.

앞으로 당내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공격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 나타날 것이고,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그 수가 늘어나면서 비판의 수위 또한 그만큼 높아질 것이다.

바야흐로 레임덕 현상을 지나 ‘데드덕’ 현상이 나타난다는 말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5년 단임제 하에서 나타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필자의 생각은 다르다.

어쩌면 이 같은 데드덕 현상이 나타나도록 만든 것은 이 대통령 자신일지도 모른다.

아무리 막강한 권력을 지닌 대통령이라고 해도 국민의 뜻에 반하는 일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옳지 못하다.

그런데 이 대통령은 국민의 70%이상이 반대하는 4대강 사업을 강행, 그것도 속도전 형식으로 밀어붙이고 말았다.

지금 그 후유증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역행침식이 발생하는가하면, 둑이 터지고 다리가 무너지고, 단수로 인해 지역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4대강 사업이 완료된 후에도 유지비로 매년 2400억 원이 든다고 한다.

어떤 전문가는 2400억원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축소된 금액이고 실제로는 조 단위의 예산이 들어갈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이러니 국민들이 분노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심지어 그동안 한나라당 텃밭으로 여겨졌던 영남지역 민심마저 이명박 대통령에게 등을 돌리고 있다.

민주당 소속 인사들이 최근 잇따라 영남권 지역구 출마를 선언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장영달 전 의원은 6일 “내년 총선은 한나라당 텃밭인 경남지역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는가하면, 앞서 김영춘 최고위원은 지난 5월 부산진 갑 출마를 공식 선언한 바 있다.

그동안 민주당 공천을 받고 영남에 출마한다는 것은 ‘장렬한 전사’로 간주될 만큼, 이루기 힘든 일이었다.

그런데 지금, 영남권 민심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에 민주당 간판으로도 얼마든지 해볼만하다는 게 이들의 생각인 것 같다.

이는 역설적으로 한나라당 후보들의 생존이 그만큼 어려워졌음을 뜻하는 것이다.

어쩌다 이런 지경에 이르게 됐는가.

물론 ‘MB 거수기’ 노릇을 해온 한나라당의 책임이 작지 않지만, 당을 꼭두각시로 전락시킨 이 대통에게 일차 책임이 있다.

따라서 이 대통령은 그에 따른 책임 있는 모습을 국민과 당원들에게 보여야 한다.

지금쯤 탈당하고 거국적 중립내각을 구성하는 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민경 최민경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