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역행침식 등으로 곳곳에서 재앙 발생”
“4대강 사업이 낙동강 홍수 피해 키워”
“금강살리기 현장 수해 직격탄”
“4대강 사업이 낙동강 홍수 피해 키워”
“금강살리기 현장 수해 직격탄”
이는 14일 각 언론에 나타난 기사의 제목이다.
실제 4대강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낙동강과 금강 인근 지역의 피해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먼저 낙동강을 살펴보자.
4대강 사업을 하면서 낙동강을 직강화(直江化·수로를 곧게 하는 것)하는 바람에 수초, 모래톱, 하중도(강 중간의 섬) 따위가 없어져 유속이 빨라지고, 이로 인해 중·하류 지역에 홍수 피해가 났다.
관철교 붕괴, 해평 취수장 가물막이 훼손, 제방 유실 등이 그 단 적인 예다.
또 곳곳에 설치된 고정 보(洑) 때문에 근처 본류 수위가 높아지면서 지천의 물이 잘 안 빠져 침수 피해가 커졌다.
금강도 예외는 아니다.
4대강 보 공사가 진행중인 금강 인근에서 역행침식 등으로 제방들이 잇따라 붕괴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이번 폭우로 유등천 침산보의 둑이 무너져 내렸다.
유등2지구에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높이 4.5m, 길이 200m의 규모로 짓고 있는 침산보를 둘러싼 둑의 한쪽 사면이 이번 폭우에 8~9m 정도 휩쓸려 유실된 것이다.
침산보가 건설돼 물길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막으면서 유속이 빨라졌고, 이 물살이 보 주변의 둑을 치고 나가면서 이 같은 사태가 초래됐다고 한다.
또 대구 달성군 논공읍 4대강 달성보 공사현장 인근에 위치한 용호천 제방도 역행침식으로 30m가량 붕괴됐다.
뿐만 아니라 영동군 심천면 4대강 공사 현장이 집중호우로 불어난 강물에 곳곳이 유실됐다.
사고가 난 공사 현장은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추진하는 금강살리기 8-1공구로 초강1·2지구와 송호지구다.
준공도 하기 전에 공사현장이 물에 잠긴 것이다.
특히 금강 4대강공사 때문에 수문 열지 못하고 농지가 침수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할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문제다.
실제 경북 성주와 고령 등에 이어 충남 논산에서도 4대강 공사 때문에 침수된 농경지가 나흘째 물바다 그대로 방치돼 수박·멜론·상추 농사들을 망쳤다며 농민들이 격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도 정부는 이런 피해는 외면한 채 멀쩡한 곳만 골라 4대강 사업을 홍보하고 있다.
참으로 가관이다.
4대강추진본부는 경남 창녕군 신촌마을 김종택 이장의 말을 인용해 4대강 사업이 홍수위험을 줄였다는 내용의 보도 자료를 전날 기자들에게 배포했다.
보도 자료를 보면 김 이장은 “많은 비에도 불구하고 낙동강 수위가 생각보다 높지 않아 확실히 준설효과를 체감하고 있다”며 “낙동강살리기 사업으로 낙동강 주변마을 홍수위험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즉 4대강 공사 덕분에 이번 폭우에 별다른 홍수 피해가 없이 지나갔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
4대강 현장을 돌아보면 유실, 붕괴, 침식 등 피해를 입은 현장이 부지기수다.
곳곳에서 역행침식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수해 직격탄을 맞은 곳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심지어 4대강 사업이 홍수 피해를 더 키우고 있다는 소리까지 들린다.
4대강 공사는 일종의 '재해대비' 사업이라는 미명 아래 속도전으로 밀어붙였다. 그러나 큰 비가 온 뒤 오히려 재해는 여기저기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피해 사실을 숨기기에만 급급하고 있으니 여간 걱정스러운 게 아니다.
솔직하게 피해 사실을 국민 앞에 공개하고, 피해 예방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피해가 매년 되풀이 될 수밖에 없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는 4대강 사업에 대해 무엇이 문제인지, 원점에서 재점검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