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아무래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여야 후보가 초접전을 벌이는 박빙의 승부가 될 것 같다.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때로는 한나라당이 우위를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민주당이 우세한 결과가 나오는 등 도무지 종잡을 수가 없다.
실제 매일경제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와 공동으로 지난 27일과 28일 이틀에 걸쳐 서울시민 700명(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나라당이 조금 우세하다.
반면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서울시민 800명을 대상으로 27일 실시한 전화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고 있다.
한길리서치 조사에서는 한나라당 후보로 나경원 의원이 나설 경우, 민주당의 한명숙 전 총리나 박영선 의원 모두에게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고,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도 한 전 총리와는 박빙이지만 박 의원에게는 8.2%포인트 차로 앞섰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포인트다.
그러나 한국리서치 조사에서는 한나라당 나경원 의원과 민주당 소속 한명숙 전 총리가 맞붙을 경우 한 전 총리의 지지도는 47.6%로 나 의원(28.6%)보다 무려 19.0% 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이 정운찬 전 총리를 영입해 출마시킬 경우에도 한 전 총리는 48.5%의 지지율로 정 전 총리(28.0%)를 20.5% 포인트 차이로 제쳤다.
다만 한나라당에서 나 의원이, 민주당에서 박영선 의원이 후보로 나설 경우에는 나 의원이 근소하게 앞섰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이다.
이런 여론조사결과를 보더라도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여야 어느 정당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팽팽한 접전 상태는 그리 오래 가지 않을 것 같다.
어느 순간 한 쪽으로의 급속한 표 쏠림 현상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차기 여야 유력 대권주자들의 지원여부가 변수다.
특히 한나라당에서는 박근혜 전 대표가, 야권에서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지원유세 여부가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현재 박 전 대표와 문 이사장은 각각 여야의 대권주자 후보 1순위로 거론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움직임이 그들을 지지하는 서울시민들의 선택에 사실상 ‘나침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차기 여야 대선 주자군에서 지지율이 압도적 1위인 박 전 대표가 선거전에 뛰어들 경우와 방관할 경우의 선거 판세는 확연하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면 박 전 대표는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과연 여당 후보를 지원하게 될까?
최근 기자들이 그에게 ‘서울시장 보선을 지원할 것이냐’고 묻자, 그는 “다음에 얘기하자”고 말했다.
지난 무상급식 주민투표 때 “지방자치단체마다 사정이 다르니 거기에 맞춰야 한다”며 선을 그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느낌이다.
특히 박 전 대표가 그동안 “선거는 당 지도부가 중심이 되어 치르는 게 맞다”고 밝혀왔던 것과도 뉘앙스가 상당히 다르다.
대체 박 전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의 의미는 무엇일까?
정확한 의미는 잘 모르겠다.
다만 야권의 유력한 대권주자인 문재인 이사장이 어떤 결정을 하느냐에 따라 박 전 대표의 행보도 거기에 맞춰 달라질 것이라는 판단이다.
그렇다면 문재인 이사장은 어떻게 할까?
그는 서울시장 보궐선거판에 뛰어들 생각임을 분명히 했다.
문 이사장은 지난 26일 밤 부산에서 열린 자신의 저서 <문재인의 운명> 북콘서트에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지원유세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만일 야권 선두 주자인 문 이사장이 민주당 후보 지원유세에 나설 경우, 여권 선두 주자인 박 전 대표 역시 한나라당 후보를 지원할 수밖에 없다.
시장 보궐선거가 사실상의 대선 전초전이 되는 셈이다.
하지만 이는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서울시민들은 시장 선거가 여야 대통령 후보들의 대리전으로 전락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번 시장선거는 어디까지나 주민투표로 찢어진 시민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는 포용력을 지닌 시장, 그리고 시민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시민들의 뜻에 부합하는 시정을 펼치는 시장, 그런 서울시장을 선택하는 선거여야 한다.
따라서 박 전 대표와 문 이사장 등 여야 차기 대권주자들은 누구를 막론하고 이번 선거판에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