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주가조작 연관 있다”

안은영 / / 기사승인 : 2011-09-21 12:48: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정태근 의원 “이상득 연루 여부는 섣불리 말 못해”
[시민일보]이명박 정부의 도덕성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이 대통령의 형 이상득 의원의 핵심 측근인 박영준 전 지경부차관과 외교부가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받는가 하면, 이상득 의원의 연루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정태근 의원이 21일 C&K 마이닝의 카메룬 다이아몬드와 관련한 주가조작 문제를 거론하면서 “이상득 의원 연루에 대해서는 섣불리 말할 수 없다. 곧 감사원 결과가 나올 것이나 박영준 차관은 분명 연관이 있다”고 주장해 파문이 예상된다.

정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이 C&K 마이닝 입찰을 따는데 관여했다. 더군다나 전문분야인 지식경제부 차관 자리에 있으면서도 검증하지 않고 이 업체를 지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의원에 따르면, C&K 마이닝이라는 신생 자원개발 업체가 지난 2007년에 무려 7억 3000만 캐럿 정도의 다이아몬드를 탐사를 했다고 발표하면서 자본을 모아 먼저 코스닥 등록업체를 인수했다.

이어 2008년부터 또 다시 4억 2000만 캐럿 정도의 매장량이 있는 탐사권과 개발권을 추진중이라고 밝혔고, 박영준 차관과 김은석 대사 등이 협력을 하면서 2010년 12월에 이곳에 대한 개발권을 따냈다고 발표를 하게 된다.

하지만 매장량이 전혀 확인이 안 된 상태에서 외교부가 이 업체보다도 먼저 보도자료를 내고, 자원 외교의 성공적인 사례로 발표를 하는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외교부는 올해 6월에도 다시 한 번 업체에 대해 보증을 해 주는 성격의 보도자료를 내기도 했다.

이 과정 속에서 3600원대 하던 주식이 무려 1만6500원까지 수직상승 하게 되고, 그 이후에 바로 주요 주주들은 주식을 팔고 시세차익을 얻게 된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외교부가 나서서 한 자원업체의 주가조작에 사실상 역할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정 의원은 “개발권을 땄다고 하는 면적이 약 236㎢다. 서울의 한 강북 지역보다 조금 작은 것이다. 그런데 그런 충적광상 같은 경우는 실제로 구멍을 뚫어가지고 확인을 해야 된다. 그런데 지금 현재까지 이 업체가 구멍을 뚫은 거는 106개 밖에 안 된다. 매장량을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서는 한 2000-3000개 정도를 뚫어야 된다. 그러니까 최초탐사보고서에 나와있다는 1800만 캐럿이라는 것도 사실은 실체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매장량에 대해 중간에 7억 3000만 캐럿이라고 얘기했다가 다시 4억 2000만 캐럿이라고 얘기를 하면서 그 근거로 UNDP 보고서를 언급한 것과 관련, “외교부에서 발표할 때 1995년부터 97년까지 UNDP에서 조사를 한 보고서에 이 내용이 나와 있다고 얘기를 하는데 95년, 97년 보고서에는 이 내용이 아예 없고, 다만 85년, 87년 보고서에 다이아몬드가 매장되어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 들어있을 뿐”이라며 “외무부가 전혀 사실이 아닌 것을 인용을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C&K마이닝의 모회사가 C&K인터네셔널이라고 코스닥 등록업체인데, 여기에 무려 17000명의 개인 투자자들에 대해서 잘못된 정보를 전달을 해가지고, 전형적인 주가 조작을 통해서 차익을 실현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외교부 직원들이 주가조작에 연루되어 있다라는 정황에 대해서 정보를 들었다. 더군다나 자원 에너지를 담당하는 데가 지식경제부인데 외교부가 나서서 보도자료를 낸다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것이다. 지식경제부에서는 ‘다이아몬드가 부존할 수는 있지만 그 매장량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있는지도 의문이다’라는 공식 보고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외교부가 보도자료를 냈다라고 하는 것은 이 업체의 주가조작에 외교부 직원도 연루되어있다고 분명히 이해할 수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당시 총리실 국무차장이었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2차관의 개입 여부에 대해 “박 차관이 C&K라는 업체가 카메룬 정부로부터 개발권을 따는데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하다. 카메룬 정부 관계자들이 국내에 왔을 때도 C&K 관계자들하고 같이 만났었고, 또 거기 사절단으로 갔었다”며 “전혀 검증도 받지 않고 이런 업체를 지원했다는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상득 의원의 연루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가 감사원 감사를 청구한 이유는 국회법이 개정 되어 감사원은 국회의 결산위원회에서 감사를 청구하게 되면 3개월 이내에 보고를 하도록 되어있다. 만약에 그 때까지 조사가 안 끝나면 다시 2개월 연장 하는데 적어도 5개월 안에는 이와 관련된 외교부나 지경부나 이런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문제점들을 보고하게 되어있으니까, 곧 경과가 나올 것이고, 그래서 그걸 제가 섣불리 어떤 점이 문제가 있었다고 얘기 하는 것은 그 윗선이 있다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박영준 전 차관이 차관직에서 물러나게 된 것이 C&K 관련된 것이 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제가 예산결산 위원회에서 당시 민정수석으로 있었던 권재진 법무부장관한테 '올 초에 이 문제에 대해서 청와대에서 내사를 했느냐' 그랬더니 '내사를 했다', 그래서 '어떤 조치를 취했냐' 하니까 '문제가 있어서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 이렇게 답변을 공식적으로 했고, 지금 금융감독원에서 올 2월부터 주가조작 혐의에 대해서 조사를 했다. 지금이 9월 달인데, 그러면 벌써 조사결과가 나왔어야 되는데, 예결위에서 제가 금감위원장한테 '조사결과가 끝났는데도 왜 발표를 하지 않느냐'라고 질의를 했더니 '아직 종료가 되지 않았다', 이렇게 얘기를 했다. 그래서 이 문제를 무마하고자 하는 세력들이 여러 가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구나 하는 것들을 느끼고 있는 것이고 그래서 감사원 감사를 청구한 것”이라며 “이것이 구체적으로 박 차관이 경질되는 원인이다, 이렇게 얘기할 수는 없지만, 정부 내에서도 카메룬 다이아몬드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해서 실제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는 정황은 분명한 것 같다”고 답변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안은영 안은영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