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아무래도 10.26 재보궐선거가 정계개편의 신호탄이 될 것 같다.
여야 어느 쪽이 패하든 패배한 쪽은 치명상을 입게 될 것이고, 그로 인한 지각변동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사실 이번 재보선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물론 문재인 노무현 재단 이사장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 여야 대권주자들이 모두 선거판에 뛰어들어 전면전을 벌였다는 점에서 ‘대선 예고편‘이라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안철수 교수 역시 아직 직접 선거판에 뛰어 들지는 않았지만, 박원순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사실상 이미 선거판에 발을 담근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번 선거판이 걷잡을 수없이 커지고 만 것이다.
만일 이렇게 판이 커져버린 선거에서 나경원 서울시장 후보가 패하면, 어떻게 될까?
여권은 상당한 내부진통을 겪게 될 것이다.
일단 한나라당 내부로부터 ‘당명 개정’ 주장과 함께 ‘MB 탈당’, ‘지도부 교체’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릴 가능성이 높다.
즉 내년 총선을 위한 선거대책위 체제로 전환하고, 박근혜 전 대표에게 전면에 나서 당을 수습해 달라는 요구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올 것이란 뜻이다.
사실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박 전 대표의 ‘힘’을 재확인 시켜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당초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원순 후보와 나경원 후보 간 격차가 무려 두 자릿수에 달했지만, 박 전 대표의 지원 이후 불과 15일 만에 한 자릿수로 좁혀져 지금은 오차범위 내에서 초접전을 벌이고 있지 않는가.
그런데도 한나라당이 패배했다면, 내년 총선 역시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여당은 특단의 조치가 불가피할 것이다.
가장 먼저 ‘당명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올 것이다.
사실 그동안 ‘MB 거수기’ 노릇을 해왔던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의 불신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박원순 후보 지지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지지 이유에 대해 ‘한나라당 후보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응답했을 뿐만 아니라, 나경원 후보 지지자들 가운데서도 ‘한나라당을 지지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이는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 불신이 얼마나 깊은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인 셈이다.
따라서 당명을 바꿔서라도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당내 목소리에 힘이 실릴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당명만 개정한다고 해서 국민의 신뢰가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
당명 개정과 함께 당이 변했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자면 뭔가 상징적인 것이 있어야 한다. 그게 바로 ‘MB 탈당’이다.
즉 그동안 당이 ‘MB 거수기’ 노릇을 해 왔지만, 이제부터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국민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이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올 것이란 뜻이다.
특히 최근 불거진 내곡동 사저 문제와 이 대통령 측근 비리 등이 이번 선거에서 악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이 대통령의 탈당요구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이와 동시에 ‘당 지도부 책임론’이 거론되면서 당을 박근혜 중심의 선대위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요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올 것이다.
박 전 대표가 직접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당을 선대위 체제로 전환하고, 이명박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 ‘MB 정권 심판론’은 동력을 잃게 될 것이고, 이를 명분으로 하는 야권연대 역시 힘이 빠질 수밖에 없다.
반면 나경원 후보가 승리하게 되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
레임덕 현상이 나타나던 이 대통령에게 힘이 실리면서, 친이계의 당 장악력도 그만큼 커질 것이다. 특히 당 지도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면서 ‘홍준표 체제’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고, 박 전 대표가 설 자리는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다.
즉 한나라당은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란 뜻이다.
그렇다면, 야권은 어떤 변화가 나타나게 될까?
박원순 후보가 승리하면 승리하는 대로, 패하면 패하는 대로 야권의 지각변동은 불가피하다.
박 후보의 승리는 곧 안철수 교수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손학규 대표와 문재인 이사장은 야권의 대권주자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결국 제 3세력을 중심으로 한 정계 개편 가능성이 그만큼 커질 것이고, 그 과정에서 민주당은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박 후보가 패할 경우 ‘안철 신드롬’도 물거품처럼 사라질 것이고, 야권 연대 역시 탄력을 잃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민주당은 비록 야권의 맏형 자리를 유지할 수는 있겠지만, 이기는 게 당연한 선거를 내준 양상이어서 후유증의 상처는 그만큼 길을 수밖에 없다.
특히 손 대표의 입지가 좁아질 것이고, 그의 사퇴로 민주당은 상당기간 표류하게 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