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다당제 구도’ 유력

최민경 / / 기사승인 : 2011-12-07 13:1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편집국장 고하승

내년 총선을 앞두고 거대 여당인 한나라당이 ‘당해체-재창당’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가하면, 제1 야당인 민주당은 시민통합당과의 야권통합 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확인된 ‘안철수 현상’ 때문이다.

안철수 현상은 ‘반(反)MB 비(非)민주’라는 국민정서가 여야 기존 정당을 배척하는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동안 이명박 정권의 실정에도 불구, 한나라당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난 것은 이 때문이었다.

하지만 최근 한나라당 지지율은 민주당 지지율과 오차범위 내에서 조금 앞서고 있을 뿐이다. ‘반MB 정서’가 한미 FTA 날치기 처리와 최구식 의원 9급비서의 디도스 공격 사건 등으로 인해 ‘반 한나라당’ 정서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급기야 한나라당에서는 7일 유승민·원희룡·남경필 최고위원 등 3명의 최고위원들이 최근의 당 위기와 관련해 책임지고 동반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일까지 발생했다.

한나라당 선출직 최고위원 5명 가운데 3명이 이날 동반 사퇴함에 따라 `홍준표 체제'는 사실상 붕괴된 것이나 다를 바 없다.

대체 이들 최고위원들은 왜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는 것일까?

미묘한 시각차가 있지만, ‘재창당 요구’라는 공통점이 있다.

즉 지금의 한나라당 간판을 가지고는 내년 총선이 어렵기 때문에 인물도 바꾸고 당명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런 정서는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민주당은 지금 시민통합당과의 야권 통합논의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런데 쉽지 않다.

실제 민주당 최고위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야권 통합 협상과 관련, 경선룰 문제를 놓고 날선 신경전을 벌였다.

앞서 민주당은 전날 저녁에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통합 전당대회 경선 방식에 대해 논의했지만 의견 절충에는 실패했다.

이러다 야권통합파와 독자전대파가 각기 당을 달리하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이처럼 지리멸렬한 모습을 보이자, 범여권 일각에서는 박세일 전 서울대 교수를 중심으로 창당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또 다른 야권의 한 축은 이미 ‘소통합’을 마치고 축배의 잔을 들었다.

여야 모두 사실상 분열의 길로 들어선 셈이다.

따라서 내년 4월 총선은 지금과 같은 ‘양당 구도’가 아니라 ‘다자구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나라당 내에서는 이미 10명의 수도권 지역 친이계 의원들이 ‘재창당’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의 요구가 탈당명분 쌓기 수순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결국 한나라당 탈당파와 박세일 신당파가 결합하는 새로운 보수신당 탄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대통합을 추진하던 야권 역시 분열되고 말았다.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새진보통합연대(진보신당 탈당파)가 모여 별도의 ‘통합진보당’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이정희·유시민·심상정 공동대표 체제하에 진보성향 정치인들이 결집한 진보당의 지지율은 얼마나 될까?

사회여론연구소(KSOI)의 지난달 24일 정당 지지도 조사결과 무려 14.7%를 얻었다. 물론 한나라당(31%)과 민주당 중심 새 통합정당(29%)보다는 뒤졌지만 결코 만만치 않은 지지율이다.

따라서 이들이 내년 총선에서 중통합 야당, 즉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에게 일방적으로 양보하거나 반대로 중통합 양당이 소통합 야당에게 양보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됐다.

게다가 중통합 과정에서 이탈 세력이 나타날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결국 내년 4월 총선은 한나라당 중심 보수당과 박세일 중심 보수당, 민주당 중심 중통합 당, 이미 소통합을 이룬 진보통합당이 4파전을 벌이는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후에는 총선 성적에 따라 범여권과 범야권이 다시 헤쳐모여 식으로 정치개편을 추진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민경 최민경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