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변액연금보험이 평균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익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소비자연맹에 따르면 변액연금보험 상품 60개 중 54개의 실효수익률이 지난 10년(2002년~2011년)의 평균 물가상승률인 3.19%에 미달됐다.
변액연금보험은 노후 준비방안의 하나로 납입보험료의 대부분을 펀드에 투자해 펀드투자실적에 따라 적립금을 노후연금으로 받는 생명보험사의 대표적인 연금상품이다.
보험 설계사가 판매한 변액연금보험 중 ING생명의 스마트업인베스트변액연금보험은 연평균 0.22%의 가장 낮은 실효수익률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녹십자생명의 그린라이프변액연금보험(0.42%), 대한생명의 플러스UP변액연금보험(0.52%), 동부생명의 BestPlan하이레벨변액연금보험_v11(0.89%), KB생명의 KB STAR 변액연금보험(0.90%), 대한생명의 V플러스변액연금보험(0.98%) 순이다.
은행에서 판매한 실효수익률 최하위 변액보험은 대한생명의 스마트63변액연금보험Ⅱ로 연평균 수익률이 1.12%였다.
이어 AIA생명의 스텝업 스마트 변액연금보험(1.33%), 하나HSBC생명의 넘버원STEP-UP변액연금(1.61%), 미래에셋생명의 미래에셋LoveAge위너스변액연금보험(1.65%), 알리안츠생명의 알리안츠파워베스트업변액연금보험Ⅱ(1.67%), KDB생명의 KDB파워변액연금보험(1.73%), 하나HSBC생명 넘버원변액연금(1.83%) 순이다.
이번 조사에서 연 실효수익률이 가장 좋은 변액연금보험은 교보생명의 교보우리아이변액연금보험(설계사, 4.06%), 교보First우리아이변액연금보험(은행, 4.28%)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