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정지 저축銀 4곳 순부채 8492억

온라인뉴스팀 / / 기사승인 : 2012-05-06 17:39: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솔로몬·한국·미래·한주 부실 심각… 사실상 회생 불능상태

저축은행 3차 구조조정 대상이 확정됐다.


금융위원회는 6일 오전 6시 솔로몬,한국,미래,한주 저축은행등 4곳에 대해 6개월 영업정지 조취를 취하고, 경영개선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어린이날이 5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해당 저축은행 관계자들을 참석시킨 가운데 경영평가위원회(경평위)를 열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이어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6일 오전 3시 긴급 금융위원회를 소집해 경평위의 결정을 승인했다.



해당 저축은행들은 이날 오전 6시부터 일체의 영업행위가 중단됐으며 임원들의 직무집행도 정지됐다.


금융당국은 오는 11월 5일 밤 12까지 해당은행들에 대한 영업정지, 관리인 선임, 45일 이내에 유상증자를 통한 BIS자기자본비율 5% 이상 달성 등의 경영개선명령을 내렸다.


다만 영업정지 기간에도 만기도래 어음 및 대출의 만기연장 등 일부 업무는 영업정지 대상에서 제외된다.


퇴출이 결정된 4개 저축은행들은 금융위 점검결과 도저히 회생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부실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1위인 솔로몬 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BIS 비율은 4.35%였으나 총자산 4조9758억원, 총여신 3조1881억원, 총수신 4조5723억원으로 순자산이 -3623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솔로몬의 경우 2010년 6월말 5조7194억원이던 총자산이 1년 반만에 7000억원 넘게 감소했다. 이 기간 동안 수신규모가 5000억원 넘게 급감한 여파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기자본은 짧은 시간에 급격히 줄어들었다. 2010년 6월말 1711억원이던 솔로몬의 자기자본은 1년만인 지난해 6월말 608억원으로 줄었고, 지난해 말에는 -1801억원으로 급격히 나빠졌다.


이로인해 BIS 비율도 2010년 6월말 9.12%, 지난해 6월말 9.16%에서 지난해 말에는 4.35%까지 오그라 들었다.


한국저축은행은 총자산 2조243억원, 총여신 9949억원, 총수신 1조7996억원으로 순자산이 -460억원으로 집계됐다. BIS 비율은 -1.36%였다.


자산과 부채 규모 등은 크게 요동치지 않았지만 자본금 증자에도 불구하고 자기자본이 급격히 줄었다.


2010년 6월말 350억원이던 한국저축은행의 납입자본금 규모는 지난해 말 800억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2010년 6월말 2184억원이나 되던 한국저축은행의 자기자본은 지난해 6월말 936억원으로 급감한데 이어 지난해 말에는 -383억원까지 떨어졌다.


BIS비율도 2010년 6월말 9.19%->2011년 6월말 6.04%->2011년 12월말 -1.36%로 시간이 갈수록 악화됐다.


미래저축은행의 경우 총자산 1조7594억원, 총여신 1조5337억원, 총수신 1조8473억원으로 순자산이 -3177억원에 달했다. BIS 비율도 -16.20%로 나타났다.


이 은행도 자기자본 급감이 부실의 결정적 원인이 됐다. 201년 6월말 931억원이던 미래저축은행 자기자본은 1년만에 -1718억원, 지난해 말에는 -2165억원이 됐다. BIS 비율도 같은 기간 9.34%->-10.17%->-16.20%로 나빠졌다.


소규모 지역기반 은행인 한주저축은행은 총자산 1502억원, 총여신 1760억원, 총수신 1854억원으로 순자산은 -616억원이었다. 이 은행의 경우 BIS 비율이 무려 -37.32%로 나타나 회생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 받았다.


2010년 6월말 41억원이던 자기자본은 2011년 6월말 -111억원으로 잠식됐고, 지난해 말에는 -470억원까지 부실이 확대됐다. BIS비율의 경우 2010년 6월말 3.62%에서 1년 뒤에는 -7.78%로 떨어졌고, 지난해 말에는 무려 -37.32%까지 낮아졌다.



한편, 예금보험공사는 오는 10일부터 예금자들을 대상으로 2000만원 한도의 가지급금을 우선 지급하고 예금담보대출(2500만원) 등을 시작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온라인뉴스팀 온라인뉴스팀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