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새누리당 내에서 이른바 ‘도토리 주자들’이라고 불리는 비박(非朴)계 대선 주자들이 경선룰을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로 고쳐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민들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찬성하고 있다는 것.
뚜렷한 당내 대권주자가 없어 안철수 서울대 교수에게 추파를 던지는 민주통합당도 이에 가세했다.
특히 박지원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최근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대위원장만 정략적 계산하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반대하고 있다"며 "이는 국민의 의사를 저버리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는 "민주통합당의 자체 여론조사에 의하면 국민의 압도적 다수가 완전국민경선제를 찬성하고 있다"며 "찬성은 63.1%이고 반대는 18.1%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만 반대하고 있을 뿐, 다른 여야 대권주자들은 물론 국민들까지도 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연 이들의 주장은 사실일까?
물론 KBS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61.4%에 달한 반면, '필요 없다'는 응답은 31.4%에 그쳤다. 오픈프라이머리 찬성 의견이 압도적이다. 다른 여론조사 결과 역시 대동소이하다.
새누리당 내 비박계 주자들과 민주당은 이를 근거로 “국민도 오픈프라이머리를 찬성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얼핏 보면, 맞는 말 같지만 여기에는 심각한 오류가 있다.
지금 현재 새누리당 경선룰 역시 ‘오픈프라이머리’ 취지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새누리당의 대선 경선룰은 '전당대회 대의원 20%, 일반당원 30%, 국민 선거인단 30%, 일반국민 여론조사 20%'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대의원과 당원,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의 의견을 모두 묻자는 취지다.
결국 현행 새누리당 경선룰도 사실상 ‘50% 오픈프라이머리’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따라서 단순히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찬반의사를 묻는 것은 국민여론을 정확히 반영할 수가 없다.
지금 새누리당 당헌 당규상의 경선룰인 ‘50%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서도 함께 견해를 물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매일경제에서 최초로 그 방식을 적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나왔다.
매경 조사 결과, 오픈프라이머리도입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37.6%인 반면, 현행 룰대로 당원과 국민의 의견이 절반씩 반영되는 당헌·당규를 따라야 한다는 응답은 무려 52.7%에 달했다.
이게 민심이다.
즉 국민들은 자신이 여야 경선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정당정치의 근간인 당원과 대의원들이 투표에 절반 정도 참여하는 것에 역시 당연한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즉 국민들은 새누리당의 현행 경선룰인 민심 50%+당심 50%반영에 대해 찬성하고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비박계 대선주자들과 민주당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국민이 찬성하고 있다’는 주장은 심각한 사실왜곡이다.
어쩌면 정치인들보다 유권자들이 더 현명한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즉 유권자들은 역선택과 동원경선 등 각종 부작용이 우려되는 100% 오픈프라이머리보다도 지금과 같은 50% 오픈프라이머리가 각각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최소화한 제도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그 잘난 정치인들은 왜 지극히 상식적인 이런 판단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정치를 하면 멍청해 지는 것인지, 아니면 알면서도 억지를 부리는 것인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한편 이번 매경 조사와 KBS 조사는 각각 전국의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전화 임의번호걸기(RDD)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