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오는 12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야 각 정당이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룰’ 개정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김문수 이재오 정몽준 등 이른바 ‘비박3인방’ 주자들이 당심과 민심을 정확하게 절반씩 반영하도록 되어 있는 경선룰을 바꿔야 한다고 아우성이다.
심지어 그들은 자신들이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경선을 보이콧 하겠다며 으름장을 놓기도 한다.
대체, 그 이유가 무엇일까?
혹시 새누리당 현행 경선룰에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것은 아닐까?
만일 중대한 결함이 있다면, 그들의 요구가 결코 무리한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아무래도 그게 이유는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비박 3인방 역시 현행 경선룰이 ‘가장 바람직한 룰’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재오 의원은 지난 2006년 11월 15일 CBS 뉴스레이다 1부에 출연, 정당정치의 근간은 당원인데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원들에게 소외감을 준다는 이유로 반대했었다.
당시 그는 “여당(열린우리당)의 오픈프라이머리는 완전 국민경선제다. 그렇게 되면 자칫 정당 정치에 있어서 당원들이 소외되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며 “정당 정치에서 당원이라고 하는 것은 당의 근간이니까 정당의 당원들 전부에게 자기 당의 후보를 선출하게 하는 투표권을 갖게 하는 것. 이건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이니까 전체 국민들이 과연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후보는 어떤 사람이 됐으면 좋을까 하는 전체 국민의 여론조사를 (당원투표와) 겸해서 뽑는 것. 그것이 정당 정치도 존중하고 국민들의 여론도 존중하고 당내 불협화음도 없애고 그래서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었다.
또 정몽준 의원은 지난 2002년 민주당 노무현 후보와 후보단일화 문제를 논의할 때 국민통합21 협상단을 통해 오픈프라이머리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 이유가 바로 지금도 제기되고 있는 ‘역선택’ 문제 때문이었다.
김문수 지사는 지난 2004년 17대 총선 당시 공천심사위원장으로서 “완전 오픈 프라이머리는 동원능력에 좌우되며, 선관위도 그것까지는 행정적 지원이 안 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즉 김문수 정몽준 이재오 등 모두가 오픈프라이머리 반대자였다는 말이다.
그런 사람들이 이제 와서 아무런 이유 없이 경선룰 개정을 요구하는 것은 어린아이 떼쓰기처럼 보여 유치하기 그지없다.
사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새누리당보다는 민주통합당의 경선룰이 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 아닌가.
실제 6.9 전당대회 결과를 두고, 당 안팎으로부터 “당심과 민심이 모두 왜곡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당시 전국 대의원 순회 투표에서 김한길 후보가 이해찬 후보를 8대 2로 가볍게 제쳤다.
권리당원 모바일투표와 40세 이상의 일반선거인단 모바일투표도 모두 김 후보가 승리했다.
이 후보는 겨우 40세 미만의 일반선거인 투표에서만 승리를 거두었을 뿐이다. 그런데도 이 후보가 당대표로 선출됐다.
그래서 당심과 민심을 모발심이 왜곡시켰다는 비아냥거림이 쏟아져 나온 것이다.
오픈프라이머리나 모바일 투표 등 아직 검증되지 않은 제도는 상당한 검토와 철저한 준비를 하지 않으면 이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다.
비박 3인방이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에 국민들이 싸늘한 시선을 보내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또 지금 민주당은 대의원과 정책당원들에 대해 투표권을 부여하고 있다.
물론 그들의 투표에서는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 선거인단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투표에서는 이미 ‘중복투표’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는가.
오히려 개정룰을 바꿔야 한다면, 그것은 지난 2007년 당시 경선에서 검증된 새누리당의 룰이 아니라, 지난 6.9 전당대회에 민심왜곡 현상이 드러난 민주당의 룰 아니겠는가.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