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의 잇단 ‘박근혜 물어뜯기’ 발언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재오 의원은 최근 대선출마를 공식 선언했지만,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그의 지지율은 1%도 안될 만큼 초라하기 그지없다.
실제 20일 SBS가 보도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재오 의원의 지지율은 0.6%로 사실상 있으나 마나한 존재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6월 둘째 주 주간 집계 결과는 이재오 의원이 0.9%로 여야 모든 대선주자 가운데 꼴찌를 기록했다.
다른 여론조사 결과 역시 별 차이가 없다.
그렇게 1%도 안 되는 후보가 언론으로부터 외면당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다.
실제 각종 방송에서 여야 정당 후보를 초청해 토론회를 열 때에 지지율 1%도 안 되는 후보를 부르는 일은 없다.
그런 후보가 언론의 주목을 받는 방법은 딱 하나, 죽기 살기로 선두 주자를 물어뜯는 것뿐이다.
그래야만 언론이 그나마 흥미를 갖고 보도해 주기 때문이다.
이재오 의원이 연일 ‘박근혜 물어뜯기’에 나선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 의원의 그런 발언은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는커녕, 되레 역풍을 초래하고 말았다.
실제 이 의원은 지난 18일 외신기자 클럽 초청 회견 중 '정치발전을 위한 새로운 리더십으로 여성의 리더십을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나라가 통일돼 평화로워진 후라면 몰라도 아직은 (여성 리더십을 얘기하기엔) 시기가 이르다"고 사실상 ‘여성 비하’ 발언을 했다. 물론 박 전 비대위원장을 겨냥한 발언일 것이다.
그러나 이 의원은 당 안팎으로부터 몰매를 맞아야 했다.
새누리당 소속 여성 의원들은 20일 당 대변인실을 통해 배포한 '새누리당 여성 국회의원 일동' 명의의 성명에서 "삼국을 통일한 신라엔 3명의 여왕이 있었고, 백제는 여성을 건국의 어머니로 추앙한 바 있다. 또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영국엔 엘리자베스 여왕이 있었다"며 "현재에도 세계적인 여성 리더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이들은 "(이 의원의) '여성 리더십은 시기상조'란 발언은 이런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발상으로서 참으로 유감스럽다"고 비난했다.
심지어 민주당 유력 대권주자 가운데 한 사람인 손학규 전 대표도 전날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여성 대통령이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이 의원의 ‘여성대통령 시기상조론’을 일축했다. 이어 그는 “이재오 의원의 발언에 동의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20일 “박근혜 전 위원장은 유신시절 퍼스트레이디로 유신통치의 장본인”이라며 민주당이 가세할만한 방식으로 박근혜 흠집내기에 나섰다.
실제 그의 발언은 민주당에게 박 위원장을 향한 공세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 되었고, 민주당은 이날 <이재오가 맞다! 김종필, 차지철보다 셌던 2인자는 박근혜>라는 논평을 통해 “박근혜의원은 유신잔당이 아니라, 권력서열 2인자였던 유신본당”이라고 공세를 취했다.
사실 이 의원이 박 전 위원장을 향해 ‘독재자의 딸’이라며, 공격적인 자세를 보인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오죽하면 호남 출신의 이정현 최고위원이 이 의원을 향해 “돌아가신 고 박정희 대통령을 상대로, 아무개의 딸이라고 매일 그것만 가지고 공격하는 것은 올바른 대선경쟁이 아니다”라며 “좀 남자답고 당당하게, 살아있는 박근혜 위원장하고 눈을 똑바로 쳐다보며 경쟁하라”고 꼬집었겠는가.
사실 유신에 대한 책임을 박근혜 전 위원장에게 지우는 것은 무리다.
그가 비록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기는 하지만, 그가 유신헌법에 관여한 것도 아니고, 그가 민주화를 탄압한 일도 없다.
따라서 유신헌법에 대한 박 전 위원장의 견해를 묻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그를 향해 ‘유신본당’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다.
그런 공세로는 국민의 공감대를 얻을 수도 없다.
지금 이재오 의원은 왜 자신의 지지율이 1%도 안 되는지, 스스로를 되돌아 봐야 한다.
그리고 민주당 역시 최근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최초로 정당 지지율이 30%대 이하로 뚝 떨어져 버렸는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
국민은 그렇게 어수룩하지 않다.
억지스러운 주장, 상대 정당 유력주자를 꺾기 위한 목적의 네거티브 방식으로는 결코 정당 지지율을 끌어 올릴 수 없다.
국민이 대권 주자들과 여야 각 정당에 바라는 것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와 ‘비전’이다.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누가 더 향상 시켜줄 수 있는지, 우리나라를 어느 정당이 집권해야 더 발전 시켜 나 갈 수 있는지, 그들의 정책을 보고 귀중한 표를 행사할 것이란 뜻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