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당내 경선은 8월 19일, 다음 날 전당대회에서 후보 선출, 오픈프라이머리는 다음달 9일까지 대선 주자 간 논의 가능.”
이는 새누리당 지도부가 지난 25일 대통령 후보 경선을 앞두고 내린 결정이다.
물론 당 지도부가 7월 9일까지 논의의 여지를 남겨두긴 했지만,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비박 주자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경선룰 변경 없이는 경선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온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의원, 정몽준 전 대표 등 비박 3인방이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일단 이들은 '경선 불참' 방침을 굳혀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몽준 전 대표는 26일 한국경제연구원 초청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승리의 목적 보다는 특정 개인이 당내 후보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자멸의 길”이라며 “제가 참여하는 게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고 말했다. 사실상 경선불참을 선언한 셈이다.
김 지사 측 신지호 의원도 김 지사의 경선 불참 의사가 유효하다는 것을 거듭 확인했다.
앞서 이재오 의원도 전날 자신의 트위터에 “뭐가 그리 급해서. 남은 룰도 안 정했는데. 날짜부터 잡냐”라며 "허 참 끝났네"라는 글을 올렸다.
경선 '판' 자체가 깨졌다는 비판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그것은 과대망상이다.
현재로선 ‘비박 3인방’이 당장 불출마를 선언하더라도 급하게 판을 깨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왜냐하면, 그들 이외에도 새누리당에는 여전히 쟁쟁한 이력을 갖춘 예비후보들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실제 새누리당 내에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ㆍ안상수 전 인천시장ㆍ김태호 의원 등 이른바 차차기를 노리는 ‘포스트 3인방’이 언론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들 ‘포스트 3인방’이 경선 완주 의지를 내비치면서, 현재 공석이나 마찬가지인 ‘포스트 박근혜’의 자리를 노리고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사실 ‘비박3인방’의 지지율이나 ‘포스트3인방’의 지지율은 너무 낮아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실제 비박3인방 가운데 여전히 지지율 0%대인 주자가 있는가하면, 높아 봐야 고작 1%대 내지 2%대에 불과하다.
그런 주자들이 40%대의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과 겨루어 이길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지지율로만 보자면 ‘비박3인방’이나 ‘포스트 3인방’이나 그게 그거다.
그러나 그들의 가능성, 즉 차차기를 고려할 때에는 오히려 ‘포스트 3인방’에 더 무게가 실린다.
특히 임태희 전 실장이나 김태호 의원 같은 경우는 민주통합당의 유력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문재인 상임고문과 김두관 경남지사와 비교되는 재목이다.
임 전 실장은 이명박 정부의 대통령 실장을 지냈고, 문 고문은 노무현 정부의 대통령 실장을 지냈다. 또 김태호 의원은 경남지사를 지냈고, 김두관 지사는 현 경남지사다.
따라서 문 고문과 김 지사가 야권의 유력 주자로 부각되었듯이, 이들 가운데 누구든 여권의 차차기 대권주자로 부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런 면에서 누가 ‘포스트 박근혜’가 될 것인지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어차피 ‘비박3인방’이나 ‘포스트3인방’ 모두 박근혜 전 위원장의 상대가 안 되는 상황이라면, 국민들은 누가 박 전 위원장의 뒤를 이을 것이냐 하는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겠는가.
누가 2위에 오르느냐 하는 국민적 관심 때문에 경선 흥행이 이뤄질 것이란 말이다.
따라서 ‘비박3인방’의 경선불참 선언으로 판이 깨질 것이란 생각은 과대망상이고, 자충수에 불과하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만일 김문수 지사 등 누구라도 차차기를 꿈꾸고 있다면, ‘비박3인방’의 틀을 깨고, 당당하게 경선에 참여하라.
지난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지지율이 미미해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정동영 후보가 ‘포스트 노무현’으로 주목받게 된 것은 그가 끝까지 경선을 완주했기 때문이다.
단언컨대 만일 김문수 지사가 비박3인방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경선에 참여하고, 거기에서 2위 자리를 차지한다면 단숨에 ‘포스트 박근혜’로 언론의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