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역시 박근혜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판단이 옳았다.”
이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비문(비문재인) 3인방’간의 경선룰 갈등을 지켜보면서 내린 필자의 결론이다.
지금 민주통합당은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방식을 두고 심각한 진통을 겪고 있다.
당초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이 내놓은 방식은 예비경선을 통해서 5명의 후보를 추려내고, 그 이후에 전국 13개 권역을 순회하면서 완전국민경선제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당내 1위 주자인 문재인 예비후보가 동의를 했다.
하지만 김두관 손학규 정세균 등 이른바 ‘비문 3인방’은 “특정 주자에게 유리한 경선룰에 동의할 수 없다”며, 결선투표제 도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심지어 비문 3인방은 ‘경선불참’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문 후보 측과 당 지도부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김두관 후보는 17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내일(18일) 최고위원회에서 결선투표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손학규 정세균 후보와 함께 경선불참여부를 협의해 봐야 할 것 같다”며 ‘경선불참’ 가능성을 강력 시사했다.
자신의 유불리를 떠나서 현재 거론되고 있는 룰이 공정하지 못하고, 민심을 왜곡하고 있어서 정권교체를 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
그러나 경선룰을 만드는 추미애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은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결선투표 요구는 명분이 없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다만 추 단장은 예비경선 경우에 시민여론조사 70%, 당원여론조사 30%로 돼 있는 것을 50% 대 50%로 조정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정했다.
그는 당원 참여비율을 50%로 상향 조정한 이유에 대해 “후보들을 잘 아는 당원들의 판단을 존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반시민 참여를 50%로 제한해도 국민참여경선의 당헌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는 현재 새누리당 경선룰이 당심과 민심을 똑같이 50% 씩 적용하는 방안과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그렇다면, 왜 민주당이 비록 예비경선이기는 하지만, 새누리당의 경선룰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일까? 그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정당정치의 근간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민심을 반영할 수 있는 현행 경선룰이 바람직하다’는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판단이 옳았다는 말이다.
그런데 민주당은 예비경선 이후에 당심을 배제하고 100%완전국민경선제로 방향을 바꾸는 경선룰을 적용할 계획이다.
그 이유는 오로지 ‘흥행’ 때문이라고 한다.
즉 경선 흥행에 필요한 이벤트로서 완전국민경선을 실시한다는 뜻이다.
그러면서도 정작 문재인 후보 측과 추 단장 등 당 지도부는 비문 3인방이 제안한 결선투표에 대해서는 이구동성으로 “반대”를 외치고 있다.
참 앞뒤가 안 맞는 말이다.
경선흥행이 목적이라면, 당연히 결선투표를 실시해야 한다.
경선이 흥행에 성공하려면 순위가 뒤바뀔 수 있는 역동성이 보장돼야 한다는 것은 상식이기 때문이다. 사실 지금과 같은 경선룰이 그대로 적용되면 문 후보가 대권주자가 되는 것은 기정사실이다. 이렇듯 결과가 빤한 경선은 결코 흥행에 성공할 수 없다.
하지만 결선 투표를 실시한다면, 김두관 후보나 손학규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민주당의 경선은 더욱 재미있게 전개될 것이고, 국민의 관심도 또한 그만큼 높아 질 것은 자명한 일이다.
즉 ‘경선 흥행’이 목적이라면, 무조건 결선투표 제안을 수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더구나 <시민일보>여론조사 결과 민주당 권리당원 60%이상이 결선투표에 찬성표를 던지고 있지 않는가.
그래서 문 후보 측과 당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이제 와서 경선흥행보다 더 중요한 다른 무엇, 즉 시간문제나 절차적 문제 등이 있다고 주장한다면, 한 입으로 두말 하는 것이 될 테고, 그대로 받아들이자니 승리를 담보할 수 없고, 이래저래 늘어나는 건 한숨뿐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비록 경선흥행이 되지 않더라도, ‘유불리를 떠나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던 박근혜 전 위원장이 선택이 더욱 빛을 발하는 것 같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