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硏 “금리상승, 소비 부진 부추겨”

뉴시스 / / 기사승인 : 2013-07-09 14:27:2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고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소비 부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9일 ‘민간소비 부진 개선 가능한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경제안전판 역할을 해왔던 민간소비가 줄어들면서 저성장 구조의 고착화와 경제안정성 약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가계금융부채 규모는 1099조원으로, 가처분소득 대비 비율이155%에 달해 가계부채가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여지는 충분하다.


연구소에 따르면 대출과 상당부분 연계된 주택시장의 부진으로 디레버리징(부채감축)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향후 미국의 출구전략 시행 등에 따른 금리상승 가능성은 변동금리 대출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내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와 노후준비 미흡 등 사회 구조적인 요인도 소비부진을 가속화시킬 전망이다. 가구주 연령이 50~60대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2000년 80%대에서 2012년 70% 내외로 급감했다.


김완중 연구위원은 “자녀 교육비 부담 등으로 노후대책 마련이 충분하지 못한 가운데 공적연금의 보장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고령층의 소비가 제약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일자리 창출 부진도 가계의 구매력을 약화시키는 이유다. 50대 자영업자 비중은 2005년 22.6%에서 2011년 30.1%로 크게 늘었다. 2010년 자영업자의 가구당 평균소득은 근로자 가구의 75% 수준에 그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역모기지 활성화 등을 통해 가계 재무건전성을 높여야 한다”며 “물가불안 요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서비스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소비여력을 확충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시스 뉴시스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