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다.
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중 금융시장 동향’자료에 따르면 3월 말 현재 은행의 기업대출은 640조6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조7000억원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이 늘어났지만 대기업 대출은 줄었다. 대기업 대출이 한 달 전보다 1조5000억원 감소했다. 대기업들이 1분기 말 부채비율을 일정 수준으로 억제하기 위해 대출을 줄인데다 일부 부실기업 대출이 출자 전환됐기 때문이다. 또 일부 우량 대기업이 회사채를 발행해 대출금을 갚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반면 중소기업의 경우 법인세 납부 등을 위한 자금 수요 증가 영향으로 대출 증가세가 이어졌다. 중소기업 대출은 전월보다 3조3000억원 늘어난 483억6000억원에 달했다.
3월 중 은행 가계대출의 증가폭도 줄었다. 지난 2월에는 1조3000억원 늘었지만 3월에는 4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봄철을 맞아 주택거래가 늘어나자 주택담보대출이 9000억원 증가한 반면 성과급 및 상여급 지급 등으로 마이너스통장대출은 5000억원 감소했다.
시중통화량(M2)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가량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과 증가폭이 유사한 수준이다.
한승철 금융시장부 금융시장팀 차장은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줄어 국외 통화공급이 줄어든 반면 대출 호조로 민간신용 환수규모가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월 중 M2(평잔)는 전월보다 1.0%,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했다. 한은이 이날 내놓은 ‘2월중 통화 및 유동성 동향’ 자료에 따르면 머니마켓펀드(MMF)와 만기 2년 미만의 금전신탁 상품을 중심으로 M2가 증가했다. 수익증권과 요구불예금은 각각 6조원, 5조5000억원 늘었다.
김민우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과장은 “미국의 양적완화 추가 축소와 관련된 불확실성 등으로 유동성이 높으면서도 수익률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는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경제 주체별로는 예금취급기관 이외의 금융기관인 기타금융기관이 주로 늘었다. 이는 보험·증권사의 통화성 금융자산에 대한 일시 여유자금 예치가 증가한 결과로, 11조7000억원 늘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