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월호 참사가 6.4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여권에 악재임은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야당도 마냥 이런 상황을 즐길 처지는 아닌 것 같다.
실제 새누리당 정몽준 서울시장 후보와 남경필 경기도지사 후보가 직격탄을 맞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정치권 전체에 대한 정치 혐오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야권 역시 유탄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새누리당 지지율이 하락했는데도,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은 제자리걸음은커녕 되레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온 것이다.
시사저널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15~16일 양일간 서울·경기·부산·충남 4개 지역 주민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5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의 경우는 49.5%로 ‘50선’마저 붕괴되고 말았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 평가는 45.7%에 달했다. 덩달아 새누리당 지지율도 동반하락 했다.
서울 지역의 경우 지난 3월 여론조사에서는 새누리당 지지율은 41.5%였으나 이번 조사에선 40.5%로 1%포인트 가량 하락했다.
이번 조사는 서울·경기·부산·충남 등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별 성인 남녀 500명씩, 총 2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 수준에 표본 오차는 ±4.4%포인트, 응답률은 13.2%다.
그러면 새정치연합은 반사이득을 얻었을까?
아니다. 오히려 새정치연합의 정당 지지율은 하락 폭이 더 컸다. 지난 3월 새정치연합 38.1%를 기록했었는데 이번에는 32.8%에 불과했다. 특히 충남에서는 새누리당이 49.3%까지 오른 데 반해, 새정치연합은 28.2%에 그쳤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정치 무관심층이 급증한 탓이다.
실제 ‘세월호 참사 이후 지지하는 후보가 바뀌었다’는 응답자가 20%에 육박했는데, 그 가운데 절반가량이 ‘정치에 관심이 없어졌다’고 밝혔다. 그들이 여당도 야당도 아닌 무당파로 돌아선 것이다. 이에 따라 정치 무관심층은 전체의 25%에 육박할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
특히 30대의 변화가 가장 컸다. 30대 가운데 4명 중 1명꼴로 지지 후보를 바꿨고, 그 가운데서도 절반가량이 정치에 관심이 없어졌다고 밝히고 있다.
유권자들은 세월호에 사고 초기대응에 미숙했던 정부와 여당에 대한 분노와 함께 이 사고를 성치선동의 기회로 삼으려는 야당 지도부 인사들의 행태에 염증을 느끼고 있는 것이다.
실제 새정치연합 문재인 의원이 18일 또다시 ‘세월호 광주’ 발언을 이어가며 박근혜 정부에 맹공을 날렸다.
문 의원은 5·18 민주화운동 34주년인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죽지 않아도 될 소중한 생명들을 죽음으로 내몬 점에서 광주의 국가와 세월호의 국가가 본질적으로 얼마나 다르냐”라고 거듭 ‘세월호 참사와 광주 민주항쟁’을 동일시하는 발언을 했다.
앞서 문 의원은 지난 16일에도 ‘세월호 광주’ 발언과 관련해 “광주 민주항쟁과 세월호 참사가 우리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다는 면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어쩌면 문 의원과 같은 극단적인 행태가 ‘정치 혐오’와 ‘정치 불신’을 부채질하고, 무당파층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정부·여당에 대한 불신이 너무 크지만, 그렇다고 야당이 썩 미더운 것도 아니라는 여론조사의 결과를 보면, 여당은 물론 야당도 많은 반성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국민은 반성할 줄 모르는 정당을 향해 분노의 화살을 당길 가능성이 매우 농후하다.
실제 많은 국민이 6월 4일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투표하겠다’는 의견이 4개 지역에서 모두 80%대 후반을 나타냈는가하면,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적극 투표층도 60%대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의 적극 투표층(‘반드시 투표하겠다’)의 경우 20대는 43.2%에서 48.4%, 30대는 52.8%에서 54.9%로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이번 선거에서 가장 많은 유권자가 몰려 있는 40대의 경우, 적극 투표층이 59.7%에서 66.3%로 증가했다.
극단적인 정치 불신과 혐오에도 불구하고 투표만큼은 반드시해서 국민의 뜻에 반하는 정당과 후보들을 심판하겠다는 의지를 ‘활활’ 불태우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