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복지+센터'는 중앙부처와 중앙 및 지방 간의 칸막이를 허물고 협업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3.0의 모범적 사례다.
21일 구미시에 따르면 '고용복지+센터'는 고용노동부, 안전행정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금융위원회, 국가보훈처, 경상북도, 구미시가 부처 및 중앙, 지방 간 칸막이를 없애고 고용과 복지서비스를 한곳에서 함께 제공하고자 23일 정식 개소한다.
앞으로 구미시민들은 고용센터(고용노동부), 일자리센터(지자체), 주민센터(지자체) 등 해당기관을 각각 방문하지 않고도 고용복지센터에서 고용과 복지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센터는 고용센터를 중심으로 취업지원센터(구미시), 새일센터, 제대군인지원센터 등 일자리 지원기관이 모여 있으며 시의 고용복지연계팀, 희망복지지원단과 미소금융, 국민행복기금 상담창구까지 배치해 다양한 고용과 복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센터에서는 구직급여, 취업성공패키지, 직업훈련 서비스 등을 비롯해 복지 상담창구에서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등 복지서비스 전반에 대한 상담 및 신청·접수가 가능하다.
또한 서민금융상담창구에서 서민층 저리자금(국민행복기금, 미소금융 등), 신용회복 지원, 불법 사금융 피해 상담 등 다양한 제도를 종합적으로 상담·지원받을 수 있게 했다.
센터는 이같은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받을 필요가 있는 주민을 위해 참여기관이 함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자원봉사센터와 같은 지역의 다양한 공공·민간 자원과 연계해 서비스 종류도 늘려 나갈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취약계층의 일을 통한 빈곤 탈출, 고용률 70% 달성의 주춧돌이 될 '고용복지+센터'의 안정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해 공간적 통합과 함께 서비스·프로그램 등의 연계·통합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