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석주 |
그런데 이렇듯 중요한 가정이 가정폭력으로 인하여 위협 받고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은 가정폭력은 가정 내의 문제로 치부하여 방관하는 분위기가 있다. 이웃집 사람이 그 사람의 아내나 자녀를 폭행하거나 욕설, 가혹행위를 하여도 자신에게 큰 피해가 되지 않으면 “그냥 그 집안 문제이겠거니, 잘못했기 때문에 훈계 하겠거니” 하면서 쉬쉬 해왔다.
경찰관이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해도 되레 가해자는 “남의 가정일 에 왜 참견하느냐” 라며 큰소리를 치며 죄책감 따위는 느끼지 않는다. 피해자도 가정을 지키기 위해 처벌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폭력을 예방하는 조치를 취하고 훈계 선에서 끝내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이 같은 사회 분위기 속에서 가정폭력은 다른 사회적 폭력보다 훨씬 지속적이고 상습적으로 이루어 져 왔고 가정폭력으로 인하여 고통 받는 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최근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과 가출·성매매 등 청소년 범죄 대다수가 그 시작은 가정불화를 원인으로 하고 있다고 하니 정말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박근혜 대통령이 부임하며 사회 4대악을 근절하겠다고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이런 분위기에 맞추어 경찰은 가정폭력은 범죄라는 인식전환과 신고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가정폭력 신고가 들어왔을 때 가정문제이거니 방관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 긴급전화 1366번의 상담전화를 두어 가정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폭력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한 기관의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사회 모든 구성원은 가정폭력의 심각성을 깨닫고 내주위에 가정폭력으로 고통 받는 사람이 있다면 “남의 가정사니 개입하지 말자” 라는 생각을 버리고 112신고 등으로 도와야 하고, 가해자는 가정폭력이 가정을 파괴하고 사회를 멍들게 하는 엄연한 범죄임을 인식하고 폭력을 행하지 말아야 하며, 피해자는 참고 사는 것이 답이 아니라는 인식을 가지고 용기를 내어 경찰이나 사회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가정폭력을 근절해야 하겠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