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인구보건복지협회가 펴낸 '2014년 유엔인구기금(UNFPA) 세계인구현황보고서' 한국어판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수 있는 평균 자녀수)은 지난해와 동일한 1.3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카오, 홍콩(각 1.1명)에 이어 낮은 수치다.
이 떄문에 우리나라 인구변화율(2010∼2015년)은 세계 인구변화율 1.1%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0.5%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세계 총인구는 72억4400만명으로 2013년 71억6200만명에 비해 8200만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이 13억9380만명으로 가장 많고 인도(12억6740만명), 미국(3억2260만명) 순으로 많았다.
우리나라는 4950만명으로 세계 27위, 북한은 2500만명으로 50위를 기록됐다. 다만 남북 인구를 합할 경우 7450만명으로 세계 19위에 해당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27번째로 인구가 많지만 10∼24세 인구수가 930만명(전체 인구의 19%)으로 세계 34위에 머물러 가파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우리나라는 이밖에 피임보급율(15~49세)은 79%로 세계 6위, 남·여 초등·중학교 입학률(1999~2012년)은 92~100%로 최상위권을 각각 기록했다.
한편, 올해 세계인구현황 보고서는 '18억 인구의 힘'이라는 제목으로 발간, 18억 청소년들이 미래에 미치게 될 영향과 더 나은 삶을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