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자치구,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선정

전용혁 기자 / dra@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5-01-27 17:23:1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매년 3~15억 지원 받는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26일 서울시 11개 자치구를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선정했다.

이는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추진된 사업으로 선정된 자치구는 올해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지정·운영되며 매년 3억~15억원을 지원받는다.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는 크게 '혁신지구형'과 '우선지구형' 등 2개 유형으로 나뉜다.

서울시에 따르면 '혁신지구형'에는 강북·관악·구로·금천·노원·도봉·은평구 등 7곳이, '우선지구형'에는 강동·동작·서대문·종로구 등 4곳이 포함돼 총 11개 자치구가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선정됐다.

혁신지구형은 매년 20억원(서울시·시교육청 각 7억5000만원, 자치구 대응투자 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중학교 학급당 학생 수 25명 이하 감축 사업 ▲학교·마을 연계 방과 후 사업 ▲일반고 진로·직업교육 지원 사업 ▲민관 거버넌스(지역 교육공동체) 구축 사업 등 4개 필수사업과 자치구별 특화사업을 벌인다.

우선지구형에는 매년 3억원(전액 서울시 지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우선지구형 자치구는 민관 거버넌스 구축 사업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프로젝트 지원 사업 등 필수사업 2개와 자치구 특화사업을 추진한다.

한편, 이번 선정은 전원 외부 인사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자치구의 교육 여건과 의지(40%), 사업 계획서(45%), 발표 및 면접(15%) 등 3단계의 심사 과정을 거쳐 최종 선정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