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고수현 기자]정부는 올해 서민금융상품 공급을 늘리고 중금리 대출을 활성화하는 등 서민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저신용자 등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힘든 서민을 대상으로 한 4대 금융상품들이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열린 '2016년 1차 업무보고'에서 4대 서민금융상품의 공급 규모를 연 4조7000억원에서 5조7000억원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4대 금융상품은 햇살론, 새희망홀씨, 미소금융, 바꿔드림론 등이다.
이번 확대로 현재 47만명에서 60만명까지 지원대상이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 2015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미소드림적금, 징검다리론, 저소득층 실버보험 등의 '서민금융 신상품 3종 세트'에 대한 지원도 지속된다.
미소드림적금은 미소금융 성실 상환자에게 은행보다 우대금리 혜택을 적용한다. 징검다리론 대출자도 성실하게 돈을 갚았다면 연 9% 이내 금리로 은행에서 계속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다.
저소득층 실버보험에 가입한 만 65세 이상 고령자는 금액 지원을 받아 이미 가입한 보장성 보험의 효력을 이어갈 수 있다.
중ㆍ저신용자의 대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중금리 대출도 활성화된다. 금융위는 빅데이터 기반의 신용평가를 이용해 다양한 금리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또 대출 후 연체 우려가 있을 때 사전에 상환 기간연장, 이자유예 등의 지원을 받는 '신용대출 119'를 도입한다.
신용회복위원회의 워크아웃은 채무자의 상환능력을 기준으로 원금감면율을 30~60%로 차등화한다. 특히 중증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최대 감면율이 현행 70%에서 90%로 상향 조정된다.
금융위는 아울러 취약계층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통합지원센터 32곳을 구축하고 고용과 복지에 대한 종합상담ㆍ지원이 가능한 '상담ㆍ지원센터'를 현재 54개에서 약 100개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반면 금융위는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불법 사금융, 불법 채권추심, 꺾기, 보험사기를 5대 악으로 지정하고 경찰청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엄하게 처벌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