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왕송만 |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자전거 절도 범죄 발생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통계치수에 의하더라도 자전거 절도가 차지하는 건수가 지난해에 비해 8.4.% 증가하였다.
자전거 전용도로의 정비, 자전거 동호회 활성화, 특히 수십 만원에서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자전거 가격 때문에 자전거 한 대만 절취해도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어 고가의 자전거절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좋은 자전거 보관 방법은 무엇일까? 자전거는 집안의 실내에 보관하거나 내 눈앞에 보이는 곳에 두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나, 그러나 자전거는 타기위한 도구이지, 관상용으로 집안에 둘 수 없기 때문에 집안에 보관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렇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전거를 보관할 때 실외에 보관을 하고 있다, 실외에 보관 시에는 잠시 자리를 비울경우라도 반드시 쇠기둥같이 고정된 물건 자물쇠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잠궈 놓아야 하며 현재 많은 경찰서에서 시행되는 자전거 도난방지 인 QR코드를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해 놓은 것도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것이다.
자전거 자물쇠로 번호키의 경우 비밀번호는 반드시 전체를 돌려놓은 채로 보관해야하며, 자물쇠 사용시에도 실톱이나, 소형절단기로도 쉽게 절단되는 케이블 또는 사슬형 자물쇠보다는 2개 이상의 U자형 자물쇠를 사용하는 게 안전하다.
그러나 자물쇠의 두께나 강도는 절단에 다소 시간이 걸릴 뿐이지, 전문전인 자전거 절도범을 막을 수는 없다, 또한 자전거의 프레임아래쪽과 정면에 음각으로 자전거의 고유번호가 표기되어있는데 이러한 고유번호의 사진을 찍어 보관하거나 기록해 두면 추후에 자전거 도난을 당해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자전거 도난예방법을 숙지하여 사전에 피해를 당하지 않게 예방해야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