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탈이 아닌 꿈을 꾸는 청소년이 되기를

김준호 / / 기사승인 : 2016-03-22 11:22: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 김준호
인천 서부경찰서 청라국제도시지구대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변화된 사회에 대한 청소년들의 비적응은 사회적 일탈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미디어와 소셜 네트워크의 발달로 청소년들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든 정보들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습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들은 범죄와 일탈의 도구로 이용되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청소년의 일탈은 과거 학교 폭력과 교내에서의 집단 따돌림이라는 전형적 청소년 범죄의 양상을 벗어나 이제는 성인의 범죄 형태를 모방하는 모습을 보여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범죄를 행한 다수의 청소년은 자신의 범죄 행위가 범죄에 해당하는 지에 대한 인식도 없을 뿐 더러, 영화 및 게임의 장면을 단순히 모방한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지난 1월에는 고1에 재학 중인 남학생 A군은 자신이 평소 즐겨하던 PC게임에서 캐릭터가 차량을 가지고 도시 이곳 저곳을 운전하는 것을 보고 실제로 길가에 키가 꽂힌 채 주차되어 있던 관광버스에 올라타 경기 파주, 고양, 인천 강화 등 경기 북부권과 인천 지역 주변을 돌아다니며 무려 200km를 운전하고 다녔다.

큰 사고가 나지 않은 것이 다행이지만 놀라운 사실은 당사자인 학생 스스로가 본인이 한 일에 대해 얼마나 큰 일을 저질렀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사고도 나지 않았고 제자리에 다시 돌려놓았으니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단순한 일탈이라고 하기에는 자칫 인명사고가 날 수 있었던 범죄 행위었다.

하지만 일탈한 청소년 대부분은 자신들이 어떠한 범죄를 저질렀으며, 후에 어떤 처벌을 받을지도 모르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렇듯 청소년은 아직은 사회적으로 범죄 행위에 대한 교육과 지도 및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존재이다.

아이들 스스로가 일탈로부터 멀어지길 기대하기보다는 학교나 가정에서 조금 더 주의를 기울이고 범죄에 대한 심각성과 가해행위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행위가 범죄 행위인지, 얼마나 큰 잘못인지를 알려주는 것이 꼭 필요하다.

아이들은 빚어놓기 전의 흙과 같다. 어른들과 사회가 어떠한 환경과 조언을 해주냐에 따라 아이들은 예쁜 도자기가 되기도 하고 비뚤어진 그릇이 되기도 한다. 누구나 청소년기에는 방황과 실수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아이들이 삐뚤어 가지 않도록 바른 시설과 교육으로 일탈과 범죄가 아닌 꿈을 키워 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준호 김준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