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주류, 탄핵열차 동승했으나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6-12-05 10:18:5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종착역은 ‘탄핵찬성’ vs ‘아니다’ 엇갈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주요변수인 새누리당 비박계가 전날 회의를 통해 탄핵 표결 참여를 결정했지만 실제 가결에 이를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양상이다.

새누리당 비박계 모임인 ‘비상시국회의’ 대변인 황영철 의원은 5일 C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35명까지는 분명히 탄핵안에 동참할 의원이 계신 것으로 확인하고 있다”며 "“야당이 분명하게 이탈자를 막으면 9일 탄핵안은 분명히 가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황의원은 친박계 의원들의 합류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어제 (친박에서 찬성하는 의원이)3분 이상이 저한테 개별적으로 연락을 주셨다"며 "문자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시국회의 실무위원장 김재경 의원도 이날 MBC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탄핵안 가결에 문제가 없냐'는 사회자 질문에 “내가 가장 정확히 집계할 수 있는 사람"이라며 "내 판단으로는 ‘40+α’가 탄핵 찬성 의견”이라고 장담했다.

그는 또 당내 비주류를 제외한 중립 성향 의원들에 대해 “보이지 않는 손이 표결 참여 여부를 컨트롤하지 않는다면, 찬성표가 더 나올 수도 있다”고 낙관했다.

반면 같은 시국회의 일원인 하태경 의원은 ‘탄핵표결 참여’가 곧 탄핵 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며 신중론을 폈다.

하 의원은 같은 날 K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탄핵 찬반은 전부 (의원) 개인적인 의견에 맡긴 것”이라며 “황영철 의원이 (모두)탄핵 찬성 쪽이라고 하는 것은 황 의원이 볼 때 그렇게 추측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실제로 하야(대통령의 자진 퇴진 시한 발표)가 됐을 때 탄핵 찬성이 많을지 반대가 많을지 (탄핵표결) 당일 가 봐야 안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그 이유에 대해 “대통령이 내년 4월이든 그 전이든 하야 약속을 발표하면 탄핵소추안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즉 특검조사 90일과 헌재 신문기간 등을 고려하면 탄핵 심판이 내년 4월을 넘길 가능성이 있고, 그럴 경우 대통령이 하야 시점을 내년 4월말 이전으로 잡아 발표했을 때 헌재가 탄핵 심판 실익이 없다고 판단해 이를 기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전날 “50 대 50, 승패를 알 수 없는 전쟁"이라며 탄핵안 가결 가능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민주당 관계자도 “탄핵안이 가결되면 대통령이 죽는 것이고, 부결되면 여의도(국회)가 죽지 않겠느냐”며 “제로섬 게임에서 살아남기 위한 피 말리는 일주일이 전개될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달 29일 3차 담화에서 가까운 시일 안에 사건 경위를 소상히 밝힐 기회를 갖겠다고 언급했던 박근혜 대통령이 반격에 나설 경우, 이 또한 탄핵 가결 여부를 가르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