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희 |
시대에 따라 국가에 따라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나 신념이 다른 경우도 많다. 하지만 ‘청렴(淸廉)’의 가치는 인류 역사 이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지 않은 적이 없다.
건전한 사회,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청렴(淸廉)’의 덕목이야말로 특정한 영역을 가릴 것 없이 사회 모든 분야에서 필요한 덕목이지 싶다.
그리고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공직자에게는 특히나 청렴의 덕목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요소로 생각되는 건 이견이 없을 듯하다.
그럼 청렴의 덕목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염치(廉恥)’를 아는 사람이 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염치를 아는 사람이 돼야 하는 중요성은 예로부터 변함없이 이어져 왔다.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고 있던 조선시대 선비들의 일상생활에서는 기본적으로 예의를 갖추었는지 또는 염치를 아는지 모르는지가 중요한 평가 기준이었다고 한다.
또한 청렴한 관리의 표본이었던 ‘청백리’에 대해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얘기하고 있다.
“청백리 제도란 청렴결백한 관리를 양성 및 장려할 목적으로 실시한 표창제도로, 욕심많고 탐욕스러운 풍조가 활개를 치고 있으니 청백리를 표창하고 상을 주어 관료들을 고무시킨다면 ‘염치를 아는 기풍’이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염치의 사전적 의미는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이다. 사전적 의미대로 염치없음은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마음에서 싹튼다.
또한 내 몫이 아닌 것을 탐내고 욕심을 내다 보면 염치없는 사람이 된다.
염치없는 사람은 자신만을 위하기 때문에 타인의 아픔과 불편함을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으며, 배려와 포용도 없다.
이런 과정에서 지연, 학연, 혈연, 권력, 재력, 직위 등과 같은 영향이 더해지면 염치없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며, 원칙이 설 자리가 없는 사회가 되는 것이다.
원칙과 공정한 룰이 적용되는 청렴하고 공정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실력만 키우면 기회가 누구에게나 열리는 열린 사회가 돼야 한다.
이는 개개인이 살아가면서 무엇이 염치없는 행동인지를 알고 그런 행동을 경계하면서 염치없는 사람이 되지 않으려 노력한다면 자연스럽게 상식이 통하는 사회, 청렴한 사회가 되지 않을까 한다.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욕심을 줄이고, 염치를 아는 사람이 되는 것부터 시작해서 행동한다면 청렴한 사회, 국가, 세상은 금새 우리 곁에 다가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