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장악 의혹’ MBC · 방문진 압수수색

이대우 기자 / nice@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11-01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김재철 前 사장 자택도 포함… 문서 · 휴대폰등 확보
MB국정원과 정부 비판 제작진 · 연예인 퇴출 의혹

▲ 김재철 전 MBC 사장이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방송장악 의혹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검찰이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과 관련해 김재철 전 MBC 사등 임원진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또한 국정원 담당 직원의 주거지와 사무실,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실 등이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이날 오전 김 전 사장 등 당시 MBC 임원진 3명과 국정원 담당 직원의 주거지와 사무실, 그리고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MBC 관계자 중에서는 김 전 사장 외에도 전영배 전 기획조정실장(현 MBC C&I 사장), 백종문 부사장이 포함됐다. 당시 MBC를 담당했던 국정원 직원도 수사 대상이 됐다.

앞서 검찰은 최근 조사에서 김 전 사장이 국정원 담당관과 만나 문건에 나오는 내용을 전달받고 논의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문건 내용을 보고하고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전 전 실장과 백 부사장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 정황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압수수색 대상지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각종 문서와 전산 자료, 휴대전화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사장 등 MBC 경영진이 당시 국정원과 긴밀히 협조하며 비판적인 제작진과 연예인들을 퇴출시킨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압수수색 대상자들은 당시 PD수첩 등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MBC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해 제작진과 진행자 교체, 방영 보류, 제작 중단 등의 불법 관여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발표된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정원은 2010년 3월 원세훈 전 원장의 지시로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문건을 작성했다.

이 문건에는 김 전 사장의 취임을 계기로 고강도 인적 쇄신, 편파 프로그램 퇴출 등에 초점을 맞춰 MBC의 '근본적 체질'을 개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후 실제로 MBC에서는 간판 시사 프로그램이 폐지되고 기자·PD들이 해고됐다. 파업 이후에는 참여 직원들이 기존 업무와 무관한 부서로 전보돼 인사권 남용 논란이 일기도 했다.

아울러 검찰은 당시 MBC 경영진 교체 경위 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실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에 나섰다.

검찰 관계자는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조만간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하는 등 신속히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MBC 노조는 최근 "김재철 사장 취임 후 임원 인사에서 국정원 기획에 따라 모든 관계사 사장의 사표를 요구하고 28곳 중 22곳의 사장이 교체됐다"며 "당시 방문진 이사장이 'MBC 논설위원이 이상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다닌다는 소문이 들린 후 이것이 문건에 반영돼 논설실장이 특집 TF팀으로 발령났다"고 주장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