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바른 음주문화로 사회적 비용 절감을…

시민일보 / siminilbo@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7-12-20 09:00:00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인천서부경찰서 생안과 심동섭
▲ 심동섭

새로운 정부와 더불어 청와대에서는 국민의 마음을 읽기라도 한 듯 국민청원 게시판을 운영 중에 있으며, 이미 청원목록이 수 만 건에 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에 청와대에서는 청원제기 기간 한 달 동안 20만 건 이상의 동의를 얻은 국민청원에 대하여 직·간접적인 답변을 발표하고 있다.

그중에서 유독 눈에 띄는 내용이 있어 애기 하고자한다.

바로 ‘주취감경폐지’에 대한 얘기다. 이 청원은 한 달 만에 20만 건이 훨씬 넘는 청원 참여자를 기록했고, 조만간 답변을 내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청원 제기자는 ‘술을 먹고 범행을 했다고 똑같은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감경해준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라고 했다.

이 청원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술을 먹고 범죄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형량을 깎아주는 것이 국민의 법 감정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주취감경의 법적근거는 형법 제10조2항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을 분별할 능력이 없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미약한 자의 행위는 형을 감경한다’라고 돼 있는 조항에 근거하였지만, 그 범위가 너무나 넓고 아직도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술에 대한 정서적 관대함이 한몫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공무집행방해 사범으로 검거된 약 1만여명중, 주취상태가 71%에 이른다고 했다.

또한 피습으로 인해 지역경찰관이 부상을 입어 공상을 신청한 사례도 2015년 한 해 동안 400여 건을 상회하였는데, 그 중 약 78.9%가 주취상태에 의한 부상이었다니 그 심각성이 도마 위에 오를 법도하다.

위에서 잠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사회는 아직도 술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만만치 않다. 이제 얼마 남지 않은 2017년을 바라보면서 못 다한 아쉬움의 한숨보다는 희망의 미소를 지을 수 있는 건전한 연말 음주문화로 다사다난했던 한해를 잘 마무리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