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원 서울시의원, “市 산하병원 적자··· 보조금 年 최대 650 투입” 지적

이진원 / yjw@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18-07-23 13:55:07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보건복지위 업무보고서 지적
“소규모 병동 통합등 각 재단 차원 노력 필요”

▲ 김용연 서울시의원이 보건복지위원회 소관부서 업무보고에 참석해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의회)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김용연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강서4)이 “서울시 산하 13개 병원의 재정 적자 심화로 매년 600억~650억원 규모의 보조금이 투입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23일 시의회에 따르면 김 의원은 제10대 의회 개원 후 첫 행보로 지난 13~19일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소관부서 업무보고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먼저 김 의원은 지난 17일 시민건강국 업무보고에서 기존 정책의 혁신적 변화를 통해 재정 자립도를 확보해 재정 적자 해결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매년 1000억원에 가까운 보조금이 투입되는 상황에서 병상수 150개 미만의 소규모 병동 통합과 시민들이 부담을 느끼는 자기공명영상(MRI) 등 고가검사 비용의 파격적 절감, 의료진 개편, 의료진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제도 도입 등 현 정책 자체의 과감한 변화를 통해 적정진료와 의료 서비스 수준 개선으로 공공의료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재단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김 의원은 지난 19일 진행된 서울의료원 업무보고에서 “강남분원의 경우 본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진료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장례식장 운영을 위해서만 존치되고 있기에 장례식장 기능을 본원으로 통합하고, 의료진들의 의식 개선을 통해 적극적인 재정 적자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김 의원은 복지본부 업무보고에서 “서울시에서 가장 많은 장애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강서구의 경우 대다수가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60대 이상의 고령층으로, 초등학교 폐교 등 각종 인프라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다양한 계층의 공존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혼부부 및 사회초년생 등 청년층 대상으로 한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완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그는 “정신질환자들의 사회복귀가 사회적 쟁점으로 거론되고 있는 만큼 낮 병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면서 “저변 확대를 통해 우울증 환자부터 중증 질환자까지 그 대상자와 가족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