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제283회 임시회’ 본회의서 최종 심의·의결
[시민일보=이진원 기자]
![]() |
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장인 김 의원은 22일 해당 조례안이 전국 최초로 발의되는 것임을 밝히고, “불의의 화재로 피해를 입은 화재 피해자들의 경우 제도적으로 체계적인 지원을 받지 못한 채 소송에 휘말리는 등 자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조례안 발의의 취지를 밝혔다.
세부적으로 조례안의 주요내용은 ▲서울시장에게 화재피해자의 자활과 권익보호를 위한 노력의무 부과와 원활한 정책 시행을 위한 소요 인력과 예산 확보의 책무 부여 ▲화재피해자 지원 대상으로 심리상담치료 지원 ▲민간협력체계 등을 통한 저소득층 화재 피해자의 재산적 피해복구 지원 ▲화재피해 당사자 간 분쟁조정 ▲제조물 결함 등에 따른 화재 원인 조사 ▲발화지점 및 발화원인 조사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를 위해 민간기업 또는 민간단체와의 협약 체결 및 협업 구축도 가능하도록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특히 이 중 화재피해 당사자 간 분쟁조정의 경우, 심의·조정 기구인 ‘화재피해 분쟁조정위원회’가 처리하며, 화재피해와 관련해 분쟁조정을 받고자 하는 사람이 조례에서 정한 서식에 따라 신청 취지와 원인을 기재한 조정신청서를 작성해 시 소방재난본부나 관할 소방서장에게 제출하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서울시 당국은 40일 이내에 분쟁조정위원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내용도 수록됐다.
김 의원은 “해당 조례가 시행되면 서울시 지역내에서 화재 피해를 입은 사람은 누구나 서울시로부터 자활을 위한 상담이나 민간협력을 통한 피해복구 지원, 그리고 소송 전 피해당사자 간 분쟁조정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화재로 인해 한순간에 모든 것을 잃은 피해자들이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특히 홀몸노인 등 취약계층의 경우는 더더욱 어려워 재활은 꿈도 꾸지 못하는 실정”이라면서 “이제는 서울시가 화재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더욱이 화재가 차량, 에어컨 등 제조물과 연관된 경우 그 화재원인 규명이 매우 어려워 분쟁이 잦은 만큼 이에 대한 화재조사를 서울시(소방재난본부)가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이러한 법적 지원근거를 마련하고자 해당 조례를 제안하게 됐다”고 거듭 설명했다.
한편 해당 조례안은 오는 31일 열리는 ‘제283회 임시회’에서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심사를 거쳐 본회의를 통과하면 시장이 공포한 날부터 즉시 시행된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