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출범 후 강남 초고가 아파트 50% 이상 급증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0-09-21 12:44:4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서울 전역엔 6억원 이하 아파트 절반 이상 사라져...9억원 이상은 2.5배 증가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3년간 서울 강남구 초고가 아파트 매매 비율이 50%p 이상 급증한 반면, 서울 전 지역에서 매매가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대구 서구)이 한국감정원의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내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문 대통령 취임 당시인 2017년 5월 67.3%였으나, 3년이 지난 2020년 6월말 기준 29.4%까지 급감했다.


반면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의 경우 15.7%에서 39.8%로 그 비율이 2.5배 가량 늘어났다. 15억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 역시 3.9%에서 15.2%로 크게 확대됐다.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 지역의 아파트가 급등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시기인 2017년 5월 강남구의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26.8%였지만 올해 6월 기준 73.5%에 달했다. 강남4구 중 하나인 서초구도 22.4%에서 67.2%로 확대했다. 송파구 역시 5.3%에서 43.1%로 늘었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6억원 이하 비율이 가장 크게 줄어든 곳은 강동구였다. 2017년 5월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74.9%에 달했지만, 2020년 6월에는 8.9%로 급락했다. 그 사이 9억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폭증했다. 


3년전 강동구 내 10집 중 7집이 6억 아래였지만, 지금은 절반이 9억대를 형성한 것이다.


같은 기간 성북구는 6억원 아파트 이하 비율 97.0%에서 33.6%로 대폭 줄었다.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서대문구 또한 88.6%에서 26.5%로 줄었다.


특히 마포구의 경우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으나, 2020년 6월에는 6.1%에 그쳤다. 이에 반해 9억 초과는 7.1%에서 61.3%로 크게 늘어났다. 성동구 또한 6억원 이하 비율이 60.6%에서 2.4%로 줄었다.


김상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 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놓았다”면서 “차라리 ‘무대책’이 집값 억제에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3년여간 정부의 부동산정책으로 되레 '집값폭탄'이 서울에 투하된 셈"이라며 "더 큰 문제는 오랜 기간 살아온 실거주민에게 '세금폭탄'까지 안겨주고 있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