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 행정사무감사(도시균형재생국) 북항재개발 집중 포문

최성일 기자 / look7780@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0-11-15 14:06:16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1단계 전면 수정 및 랜드마크 개발 시민의견수렴·절차 투명성 요구, 2단계사업은 청년 일자리 창출 메카로 [부산=최성일 기자]
▲ 부산시의회해양교통위원회의원들사진

북항재개발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이루어졌다. 13일(금), 도시균형재생국을 대상으로 한 부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해양교통위원회(위원장 : 이 현) 의원들은 북항재개발 1단계 문제점의 수정·보완과 2단계 사업의 방향성 설정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의하고 대책을 요구했다.

 

먼저, 이산하 의원은 “북항재개발 연계 원도심 재생 용역을 미룰 것”을 주문하였다. “기존 산복도로 르네상스 등 원도심 재생사업 평가과 시즌2 방향성 설정에 관해 내년 3월까지 BDI에서 용역이 진행 중이고, 2단계사업에 대해서도 현재 각계각층 전문가를 비롯하여 시민들의 제안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라 이를 가능한 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김민정 의원은 “현 상황을 시물레이션한 결과 빌딩장벽으로 북항과 도심의 단절문제 등이 심각하다며 시의회에서 요구한 1단계사업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단계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랜드마크 개발부지에 대해 그동안 복합리조트, 돔구장 건립 등 여러 논의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도입시설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어 향후 시민 공감대와 절차의 투명성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박흥식 의원은 “2단계사업 컨소시엄에 부산시가 참여했다고 해서 부산시 의도대로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민자가 전체의 94.57%를 차지하는데 어떻게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 우려를 표명했다. 그리고 “2단계사업의 구성원이 다양해 지구단위계획 수립과 같은 구체적인 절차에 들어가면 갈등구조가 표출될 수 있다며 참여지분이 거의 없는 부산시가 어떻게 사업을 주도해나갈 것인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면서 “2단계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생활숙박시설이 도입되지 못하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통해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김동일 의원은 “수도권 쏠림을 막고 청년 유출문제를 북항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미래먹거리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단지 조성 후 기업을 유치하는 기존방식보다는 앵커시설(기업)을 먼저 유치하고 필요한 산업환경을 조성해주는 방식으로 좀 더 적극적으로 기업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북항 2단계사업이 인접해 있는 문현금융단지의 규모를 보완하여 국제적인 금융중심도시로 성장해 나가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무엇보다 지난 7월 23일 발생한 초량 지하도참사와 관련하여 북항재개발로 인한 기반시설 미비와 안전시설 전반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폭우 시에 범람하는 동천 역류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이 현 위원장은 이날 도시균형재생국장을 향해 “부산의 백년 미래가 달려 있는 북항재개발 사업에 대해 현 시점에서 미비점을 보완하고 단기적 성과보다는 좀 더 장기적 안목으로 미래먹거리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부산시가 주체가 되어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