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15일 코로나19 상황 백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3단계를 통해 효과를 보려면 전 사회적인 응집력이 중요하다"면서 "전체가 준비하고 결집해서 효과를 확실하게 나타내는 조치가 3단계고, 또 오래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회적인 합의를 충분히 거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또한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3단계 격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피해가 크고, 특히 소상공인의 피해가 크기 때문에 격상 기준을 넓게 잡은 것이고 그 필요성과 시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사회적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거치게 돼 있다"면서 "현재 3단계 조정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논의하지 않고 내부적 검토만 하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시행 중인 수도권의 거리두기 2.5단계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판단했다.
손 반장은 "이전 2단계를 적용했을 때 효과가 그렇게 크게 나타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런 한계가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거리두기는 10∼14일 정도 뒤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아직은 (평가가) 이른 시기라고 본다. 금주 후반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거리두기가 오래되다 보니 국민적 피로감 때문에 함께 동참하는 동력도 같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며 "지난주 이동량의 경우 직전 주에 비해 거의 정체 또는 수도권은 소폭 상승하는 경향으로 가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병상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중환자 병상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윤 반장은 "중환자실에서는 인공호흡기, 에크모(인공심폐장치·ECMO) 등이 필요한 6∼7등급 환자를 치료하는데 이분들의 증상이 개선될 경우 고유량 산소치료가 가능한 병실로 보내면 중환자실의 회전율을 더 높일 수 있다"면서 "위중증 환자 중 6∼7등급에 해당하는 중환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만 4∼5등급 경계선에 있는 환자는 중환자실보다는 1인실에서 치료하는 부분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정치권 일각에서 '정부가 K-방역 홍보비로 1200억원을 썼다'는 주장이 나온 것과 관련해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일축했다.
손 반장은 "복지부에서 올해 방역에 쓴 홍보비는 67억원인데 이 역시 K-방역에 대한 홍보가 아니라 손 씻기,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에 대한 광고·콘텐츠로 집행한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