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코로나19 확진자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연일 급증하면서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단계로 격상키로 했지만 뒤늦은 조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감염병 전문가인 이재갑 한림대 교수는 23일 오전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감염병 전문가들의 의견이 중수본이나 중대본에 잘 전달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2차 유행 이후 질병관리청과 감염병 전문가들이 계속 소통할 채널들이 있었는데 지금 중수본이나 중대본은 생활방역위원회와 일부 자문위를 빼놓고는 감염병 전문가들과 의사소통이 많이 끊어진 상태”라며 “1차, 2차 유행 거치면서 아주 잘 방어했다고 생각해서 자신감이 생긴 건지는 잘 모르겠는데 전반적으로 그렇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고 있는데 유행 등의 부분에 대해서도 신속한 의사 결정이 필요한 측면도 있고 장기적인 계획들, 특히 백신이나 치료제가 나오기 전까지 상황을 준비해야 하고 치료제와 백신이 제대로 나오기 시작할 때 상황도 대비를 하려면 중수본, 중대본 구조보다 코로나19를 절대적으로 끌고 갈 수 있는 상임기구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경우 에볼라 유행 때 에볼라 차르라고 해서 특별보좌관을 임명해 거기에 정책권한 뿐 아니라 예산권 부분까지 동원해 착착 진행하는 면모를 보인 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비상조직, 비대위 TF 같은 게 구성돼서 거기서 결정된 사항들은 빨리 빨리 실행될 수 있도록 전부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구조가 있어야 앞으로 이런 위기상황이 계속될 때 도움이 많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최근 코로나19 심각 상황과 관련해서는 “전국민이 동참하는 사회적 거리두기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주말 검사량이 반 정도까지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300명 넘게 확진자가 나왔는데 일단 계속해서 지역사회 전체적으로 감염자가 나오고 있고, 전반적으로 지역사회내 감염이 만연한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이나 유럽 자체가 지역사회 감염 중심으로 확산이 됐고, (우리나라도)그런 패턴으로 가고 있는데 오히려 조기에 선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는 게 미국이나 유럽을 따라가지 않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