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1총괄조정관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번 달까지 코로나19 중증환자만을 위한 병상을 110개까지 추가 확보하겠다"고 2일 밝혔다.
중수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위중·중증 환자는 124명이다.
지난 8월18일만 하더라도 위중·중증 확진자는 9명으로 한 자리에 그쳤지만, 이날 124명으로 늘어나면서 보름 만에 약 13.8배로 치솟았다.
지난 1일 기준으로 전국의 중환자 치료 병상 511개 가운데 비어있는 병상은 49개(9.6%)에 불과하며, 이 가운데 인력, 장비 등을 갖춰 즉시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43개(8.4%)라는 것이 중수본의 설명이다.
최근 환자가 집중된 수도권의 경우, 306개의 중환자 병상이 있지만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병상은 9개(2.9%)뿐이다.
이에 정부는 '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원'을 지정해 코로나19 중증 환자가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을 더 늘릴 계획이다. 지정된 병원에는 코로나19 치료로 인해 빚어진 영업 손실에 대한 보상은 물론, 충분한 인센티브도 제공할 방침이다.
정부는 국방부와 협력해 중증환자 치료를 담당할 군 인력도 지원한다. 국방부에 따르면 오는 4일부터 수도권 민간 의료시설 9곳에 군의관이 긴급 투입된다. 우선 1차로 파견이 확정된 인원은 20여명 정도이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향후 군의관 추가 투입 계획에 대해 "추가적인 부분은 상황을 보며 지방자치단체나 병원에서 요청하는 부분이 있으면 지원 방안을 계속해서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전담 간호사 인력도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1개 교육기관에서 250여명의 교육생을 선정했으며 이달부터 연말까지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진료에 있어 꼭 필요한 이동형 음압기, 인공호흡기, 에크모(체외막 산소화장치·ECMO) 등 의료장비도 즉시 지원해 진료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혹시 모를 전국적 확산에 대비한 준비도 나선다. 연말까지 권역별로 '감염병 거점 전담병원'을 지정해 해당 권역 안에서 확진자가 대규모로 발생했을 때 환자 분류 및 병상 배정을 총괄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앞으로 23개 의료기관에 총 1천54억원을 지원해 이달까지 병상 110개, 연말까지는 103개를 추가로 확보해 내년 상반기까지 중환자 치료를 위한 병상 총 496개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총괄조정관은 "최근 수도권 교회와 집회에서 발생한 환자 가운데 60대 이상 환자의 비율이 40%를 넘는 등 중환자 병상에 대한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추가 병상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