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년 발생한 전기화재는 9240건으로, 이에 따른 인명피해는 사망 85명, 부상 440명 등 총 525명이었다.
2017년 전기화재 8011건에 따른 인명피해 217명(사망 32명ㆍ부상 185명)과 비교하면 무려 141.9%나 증가한 것이다.
2018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체 화재 건수는 4만2337건으로 이중 전기화재는 21.8%인 9240건이었다.
전체 화재가 전년대비 1841건(4.2%) 감소한 반면 전기화재는 1229건 증가하면서 점유율 역시 2017년 18.1%에서 2018년 21.8%로 3.7%p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기화재로 인한 재산피해액도 2017년 1047억6200만원보다 82억3300만원(7.9%) 증가한 1129억95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기화재를 장소별로 살펴보면 주택 및 아파트 등 주거시설에서 발화한 화재가 2776건(3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축사·발전소·공장 등 산업시설이 1779건, 노래방· 분식점 등 생활서비스 장소가 1404건의 순이었다.
한편 장소별 인명피해는 의료·복지시설이 195건의 전기화재로 사망 39명, 부상 158명 등 총 19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주거시설에서 2776건의 전기화재로 인해 발생한 인명피해 178건(사망 25명ㆍ부상 153명)을 상회하는 것이다.
위 의원은 “전기화재와 그에 따른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전기안전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면서 “가장 좋은 대책은 예방인 만큼 의료·복지시설 등에 대한 전기안전 강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