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첫 의제였던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포기' 공론화 실패로 난항을 겪던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꼼수 탈당' 방지를 위해 복당처벌 규정을 대폭 강화한 '2호 쇄신안' 등으로 국면전환에 나섰지만 쉽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다.
2일 관계자 등에 따르면 혁신위는 비위 의혹을 받는 인사가 '자진 탈당'으로 당 조사나 징계를 피해왔던 잘못된 관행을 막기 위해 일단 당헌·당규 상 자진 탈당자 복당 벌칙 규정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
거액의 코인 보유 논란에 휩싸인 김남국 의원과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에 연루된 윤관석·이성만 의원, 송영길 전 대표 등이 민주당 탈당으로 당 징계를 면피한 데 대해 여론은 싸늘한 반응 일색이었다.
다만 당내 일각에서는 이 같은 혁신위의 '강경 드라이브'가 난관에 부딪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실제 지난달 23일 혁신위가 1호 쇄신안으로 내건 '민주당 의원 전원의 불체포특권 포기 및 체포동의안 가결 당론 채택' 안건은 1주일 뒤 열린 의원총회 의제에 오르지도 못했다.
지도부 관계자는 "이태원 특별법 패스트트랙 지정이나 노란봉투법 본회의 부의 등 긴박한 사안 때문에 그날 의총에서 혁신위 안은 언급하기가 어려웠다"면서도 "몇몇 의원들 사이에선 불만도 많아서 당장 의총에서 논의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에 따라 현재 민주당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대의원제 수정·폐지' 문제는 당분간 혁신위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다.
혁신위 행보가 구체화 될 경우 당내 비명계에서 즉각적으로 반발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면서다.
혁신위 관계자도 "대의원제가 표의 등가성이나 전당대회 구조 혁신 차원이 아닌 계파 간의 의제로 비치고 있어 상당히 조심스럽다"며 "대의원제 뿐 아니라 당의 의사결정 구조 전체를 다 들여다보며 뜯어고칠 것은 고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혁신위는 별도의 혁신위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게시판 형태 플랫폼을 통해 '민주당 혁신'과 관련한 국민 의견을 받는 등 일반 국민과의 소통 국면을 넓히겠다는 방안이다.
특히 혁신위 내부에 각 소위원회를 구성해 전문성에 맞춘 심층 논의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