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으로 가는 민주당, 이재명 퇴진론' 와중에 친명 ‘정청래 '폭주 중'

이영란 기자 / joy@siminilbo.co.kr / 기사승인 : 2023-06-08 11:49:0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비명계 "이래경 참사 책임지고 사퇴해야" ...鄭, "상임위원장 내놔"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총선을 1년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이래경 참사’로 이재명 대표가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친명계 ‘정청래 최고위원까지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로 폭주하는 양상이어서 총체적 난국 상황에 처한 모습이다.


8일 현재 이재명 대표가 고심 끝에 꺼낸 '이래경 혁신위원장' 카드가 9시간 만에 불발되며 비명계에선 다시 이 대표 '사퇴'를 촉구하는 등 계파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정청래 최고위원은 상임위원장 겸직을 만류하는 당 지도부에 반발하며 폭주하는 등 당 내홍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7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 혁신기구 위원장으로 내정했다가 사퇴한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 이사장 관련 논란에 대해 "결과에 대해서 언제나 무한 책임지는 것이 당 대표가 하는 일"이라면서도 자신의 사과 계획 등 구체적인 책임 방식을 묻는 말엔 묵묵부답했다.


이에 대해 안민석 민주당 의원은 "이래경 혁신위원장 임명 사실을 언론을 통해 알았다"며 "고약한 일이 벌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안 의원은 이날 ytn 인터뷰에서 "혁신위원장 끈으로 혁신의 발목이 잡히는, 혁신의 ‘늪’에 빠져버리는 그런 모양새가 되어 버렸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문제는 (이래경을 임명한) 단독 결정보다, 또 절차적인 하자 그런 것보다 권칠승 대변인의 부적절한 발언이 이 사안을 더욱더 어렵게 만든 것 같다"며 "혁신위원장을 외부에서 모시기가 더 어렵게 되어 버렸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의 향후 거취와 관련해서는 "어쨌거나 이재명 대표로서는 계속적인 악재가 겹치는 것"이라며 "이재명뿐만 아니라 민주당의 ‘늪’인데 돈 봉투의 늪, 코인의 늪, 이어서 혁신위원장의 늪에 빠져버렸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틈만 나면 대표 사퇴하라는 내부 주장은 온당치 못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치라는 게 선거라는 게 외부의 강한 적에 의해서 무너지는 게 아니라 내부의 분열과 균열로 지는 것"이라며 "중진 의원 한 분께서 계속적으로 언론 방송에 나가셔서 혁신위원장 사단 낸 거 책임지고 당 대표 사퇴하라고 그러는데 동의할 수 없다"며 "(해당 의원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당의 경고가 있어야 하고 개선되지 않으면 중징계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이 지목한 '중진의원'은 연일 이재명 대표 사퇴를 촉구하고 있는 비명계 중진 이상민 의원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의원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돈 봉투 사건, 최측근 김남국 의원의 코인 건에도 매우 부적절한 대응을 했다"며 "이(재명) 대표의 결함과 한계이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려면 이 대표 스스로 퇴진하는 것이 맞다"고 사퇴를 압박한 데 이어 이날도 "무한책임을 질 방도는 대표직 사퇴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이와 같은 중대한 잘못을 범했는데 대표가 그냥 '결과에 대한 무한 책임을 지겠다' 이런 정치적 레토릭에 가까운 얘기를 했다면 그거는 정말 더 큰 화를 자초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이 대표가 용기 있게 이 모든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 대표 스스로의 사법적 의혹도 무고함을 밝히는 데 집중하기 위해서 잠시 물러나 있겠다. 이렇게 하는 것이 국민들 보기에, 당원들 보기에 또 당에 놓여있는 여러 가지 논란거리를 제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표 사퇴에 반대하는 친명계 주장에는 "이 대표가 물러나는 게 혁신의 첫걸음"이라며 "지금의 분란, 당의 부조리 또 여러 가지 문제를 응축하고 있는 부분이 이 대표이기 때문에 이 대표가 퇴진하는 것만이 당이 혁신해 나아갈 수 있는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고 반박했다.


당 혁신위원장 인선과 관련해서는 "이번에 이 대표가 혁신위원장으로 내건 인물은 이 대표 쪽에 기울어 있는 인물이라는 것이 다 드러났다"며 "이 대표의 속내가 드러난 이상 신뢰를 얻기 어렵고 또 이 대표가 누구를 내세운다 한들 이번에 엉망진창 된 혁신위원장 인선 건으로 인해서 상당 부분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의원은 '이 대표가 끝까지 사퇴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느냐'는 진행자 질문에 "이 대표가 그렇게 버티면 버틸수록, 이 대표 주변의 맹종파들이 더 강경으로 치달을수록 당은 걷잡을 수 없는 위기 속으로 또 분란 속으로 빠져들 것"이라며 "분란을 막고 소위 세간에 떠도는 분당 사태를 막기 위해서도 이 대표의 퇴진이 빨리 있어야 된다"고 압박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몫인 6곳의 상임위원장 인선과 관련해 행정안전위원장 겸직을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는 정청래 최고위원 때문에 당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지난해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지냈던 정 최고위원은 여야가 1년씩 맞교대하기로 합의한 행안위원장직을 요구하고 있으나 '겸직 불허' 조항에 막혀 있는 상태다.


그럼에도 정 최고위원은 지난 6일 "행안위 문제는 박광온 원내대표가 대국민 약속을 못 지킨 것"이라며 "내가 피해자인데 왜 피해자를 욕하는가"라며 박 원내대표를 저격했다.


특히 "윤호중 의원이 법제사법위원장을 중간에 그만뒀는데 박 원내대표를 시켰다. 내가 1순위인데 내 자리를 박 원내대표가 차지한 것"이라고 과거 사례까지 들춰내며 권한쟁의심판을 예고한 상태다.


하지만 당시 박 원내대표는 사무총장직을 사퇴하고 법사위원장을 맡은 것이어서 '버티기' 중인 정 최고위원 사례와 다르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시 법사위원장 남은 재임 기간이 1년3개월이었는데 반쪽짜리를 만드는 것보다 마저 임기를 수행하는 보궐 성격의 인선"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12일 의원총회를 열어 자당 몫 상임위원장 교체 문제를 결론 내기로 했다.
김한규 원내대변인은 전날 "(회의에서) 원내 지도부가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며 "아마 다음 주 월요일 오전 정도에 의원총회를 열어 원내대표가 생각하는 상임위원장 선정 기준을 보고하고 추인을 얻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달 30일 본회의에서 자당 몫 상임위원장을 선출할 예정이었으나 본회의 직전 열린 의총에서 원내 지도부 인선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빗발치면서 표결 직전 보류했다.


당시 교육위원장과 복지위원장에 각각 내정된 박홍근 전 원내대표와 한정애 전 환경부 장관은 원내 지도부 결정에 따르겠다고 밝혔으나 정청래 최고위원은 위원장 선출 보류에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저작권자ⓒ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